"벤치마킹을 통해 선진국보다 뛰어난 특허행정전산화를 이루겠습니다"

특허청 김명한 정보기획과장(53)은 최근 2년간 미국.유럽.일본 특허청을
두루 돌아다니며 수집한 선진국의 특허행정전산화현황자료를 비교분석해가며
우리실정에 적합한 전산화모델 도출에 노력해왔다.

또 특허청내 국.과가 요구하는 전산화대상과 의견을 수렴, 반영해나가고
있다.

그래서 지금도 밤늦게까지 부하직원과 보완책을 토의한다.

옛 경제기획원 통계국에서 잔뼈가 굵은 그는 일제가 만든 산업.상품표준을
국제규격을 참고해 우리실정에 맞게 고쳤던 경험을 되살려 산업재산권자료의
데이터베이스화, 온라인 전자출원및 검색을 실현해 나가고 있다.

그는 "특허와 실용신안의 기술내용은 워낙 복잡다난해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검색엔진으로 빠짐없이 꺼내본다는 것은 어려운 과제일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기술의 영역과 독창성등 자료구성요건을 제대로 파악해
데이터의 속성을 올바로 정해줘야 완벽한 자료검색이 가능해진다"고
말했다.

특허청 전산화작업은 부.처.청 단위로서는 가장 많은 돈이 투입된
전산화프로젝트다.

특허청은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와 선진국들이 제시하는 생산조달운영
통합정보시스템(CALS)에 부합하는 전산망을 구축할 계획이다.

선진국 특허청도 CALS표준에 맞추지 못해 힘겨워하는 상황이지만
시행착오를 최소화해 최단시간내에 전산화를 완료한다는 전략.

특허청이 전산화에 적극 나서고 있는 이유는 출원 심사 공보발간에 드는
시간을 단축해 심사적체를 해소하고 인력과 자원의 낭비를 줄이기 위해서다.

김과장은 "전산화가 완료되면 특허청만 하더라도 공보발간에 소요되는
입력비 인쇄비 등의 비용이 연간 60억원 절약되고 업무능률이 40% 오르며
자료보관에 소요되는 공간을 크게 줄일수 있다"고 말했다.

또 "일반인은 출원과 검색업무를 사무실에서 PC를 이용, 처리할수 있게돼
시간을 아낄수 있고 교통체증에 시달리지 않아도 된다"고 덧붙였다.

산재권자료를 모니터로 확인할수 있기 때문에 복사에 드는 종이도 아낄수
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특허청은 내달초 청내 시스템통합 초기모형을 시연할 계획이다.

김과장은 "이를 보완해 빠르면 98년부터 상표 의장에 대한 FD
(플로피디스크)부본출원과 CD롬 타이틀 공보발간등이 가능해질 것"이라며
"과도기를 거쳐 99년부터는 모든 산재권에 대한 전자출원및 자료검색이
가능하리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 정종호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11월 26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