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상반기는 수출 기저효과로 국내 증시 상승세가 이어질 겁니다. 그러나 4분기 미국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변동성이 커지면 조정이 나올 수 있습니다"
오태동 NH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7일 한국경제신문과 만나 내년 국내 증시가 '상고하저'의 모습을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국내 대부분의 증권사 리서치센터에서 '상저하고'를 전망한 것과 대비되는 분석이다. 오 센터장은 "내년 9월까지 코스피 예상 밴드를 2250~2750으로 본다"면서 "4분기는 미 대선에서 공화당과 민주당 중 어느 쪽으로 쏠릴지에 따라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조정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내년 증시에서 가장 큰 변수로 미 대선과 미 중앙은행(Fed)의 통화정책 속도를 꼽았다. 미국 대통령이 어느쪽 당에서 나오느냐도 중요하지만, 같은 해 진행되는 상원·하원의원 선거에서 대통령과 같은 당에서 과반수가 나올지도 관건이라고 강조했다. 오 센터장은 "대통령과 양원의원들이 같은 당일 경우 정책 추진 속도가 급격히 빨라진다"면서 "이 경우 증시의 변동성도 커질 수밖에 없어 예의주시해야할 사안"이라고 말했다.
Fed의 통화정책도 시장의 기대보다 느릴 경우 실망감에 증시 하락을 불러올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시장이 기준금리 인하 타이밍을 내년 3분기에서 2분기, 최근에는 1분기로 당기며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면서 "예상처럼 금리 인하가 빠르지 않고, 기업들 실적이 저조할 경우 조정폭이 커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추천 1순위 업종은 반도체다. 수출 등 실적이 개선되고 있고 주가 상승 여력도 남아 있다는 판단이다. 반도체 다음으로는 최근 2년간 가장 지지부진했던 업종 중 플랫폼 비즈니스를 꼽았다. 대표적
올해 3분기 국내 자산운용사 절반 이상이 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이 8일 발표한 ‘3분기 중 자산운용회사 영업실적’에 따르면 전체 465개 자산운용회사 가운데 249개사가 올 3분기 823억 원의 영업적자를 냈다.
적자회사 비율은 53.5%로 전분기(50.2%) 대비 3.3%p 늘었다.
반면 흑자 회사는 216개사로 5,142억 원의 이익을 거뒀다.
사모운용사만 따로 볼 경우 전체 383개사 중 229개사가 적자를 기록했다. 적자회사 비율은 59.8%로 전분기와 비교해 3%p 상승했다.
3분기 자산운용사의 당기순이익은 4,319억 원으로 전분기 대비 12.5% 증가했다. 1년 전 같은 기간과 비교해선 19.4% 늘었다.
영업수익은 1조1,317억 원으로 수수료수익(-370억 원)과 증권투자이익(-533억 원)이 줄어든 영향으로 전분기 대비 8.6% 감소했다.
자기자본이익률(ROE)는 11.9%로 전분기 대비 1.0%p 상승했다.
한편 지난 9월말 기준 자산운용사의 운용자산(펀드수탁고, 투자일임계약고 기준)은 1,465조3천억 원으로 6월말(1,443.4조 원) 대비 21.9조 원(1.5%) 증가했다.
펀드수탁고와 투자일임계약고는 각각 902조7천억 원, 562조6천억 원으로 전분기 대비 2.4%, 0.1% 각각 늘었다.
신재근기자 jkluv@wowtv.co.kr
국내 첫 미술품 토큰증권(ST)이 이달 발행을 앞둔 가운데 ST 공모 참여자가 작품 매입가액의 약 10%에 달하는 '숨은 수수료'를 부담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작품 매입에 수반된 비용만 이 정도이기 때문에 매각 때도 비슷한 비용이 든다고 가정하면 작품 가격이 20%는 올라야 투자자가 본전을 건질 수 있다는 것이다. 필요경비를 제외한 양도소득에 세금이 22% 부과되고, 미술시장이 최근 조정을 받고 있는 점도 변수다. 미술품 ST 투자자가 '익절(수익을 보고 매도)'하기까지는 난관이 예상된다."작품가 20% 올라야 투자자 본전" 예상업계에 따르면 열매컴퍼니가 운영하는 미술품 ST 거래 서비스 '아트앤가이드'는 일본 유명 미술가 쿠사마 야요이의 2001년작 '호박'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ST 청약을 이달 18~22일 받는다. 서울옥션블루의 'SOTWO'는 앤디 워홀의 1981년작 '달러 사인'의 ST 청약을 20~26일 받고, 케이옥션 자회사 투게더아트의 '아트투게더'도 쿠사마의 2002년작 호박 ST 청약을 오는 26일부터 내년 1월 2일까지 받는다.
이들 ST 발행사는 증권신고서의 '투자자가 부담하는 총수수료' 란에 "발행 및 운영수수료 없음"이라고 표기했다. 다만 추후 작품을 매각하는 데 성공해 발행했던 ST를 청산할 때, 작품을 매각한 가격이 모집총액의 108%를 초과하면 그 초과분에 대해 20%의 성과보수를 받는다고 덧붙였다. 이 내용대로라면 작품 가격이 8% 오를 경우 상승분이 모두 투자자에게 귀속되고, 8% 초과 상승하는 경우 이 구간 수익금의 20%를 제외한 금액이 투자자 몫인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실제로는 적잖은 수수료가 부과된다. 운영비 성격의 '기타 수수료'가 모집총액에 이미 포함돼 있기 때문이다. SOTWO가 매입한 워홀 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