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원기 < 한국기술교육대 총장 >

정보화와 고학력화에 따라 훈련내용의 확대와 심화, 훈련에서의
일반 지식교육의 증대로 훈련과 교육의 질적인 차이도 소멸되었다.

교육과 훈련의 경직적 구분은 기획설계와 현장노동이 엄격히 구분되었던
산업화 시대의 유물이 되었다.

현장기술인력의 직업훈련은 직업전문교육이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며,
향상훈련의 중요성이 재고됨에 따라 직업능력개발이라는 용어로 호칭되고
있다.

기업의 직업능력개발은 현장훈련(OJT)과 집합훈련(Off-JT)으로 구분된다.

필요로 하는 지식이나 기능, 태도를 일하면서 습득케하는 현장훈련에
비해 집합훈련은 그 특성상 근로자가 일정기간 작업현장을 떠나야 하고
교육기관이 존재하여야 하며 비용문제가 발생하는 등 기업이나 근로자
혼자만의 노력으로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집합훈련을 성공적으로 실시하기 위해서는 정부 교육기관
기업체의 역할분담과 긴밀한 협력체제의 구축이 필수적이다.

기업은 교육유급휴가제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문호를 과감히 개방하여야 한다.

특히 정부는 이를 위한 제도를 마련하고 원활히 운영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하여야 한다.

지난해 7월 정부가 고용보험제를 도입하면서 능력개발사업을 시작한
것은 기본적인 틀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다행스럽다.

위탁훈련의 지원근거가 되는 이 사업은 양성훈련에 중점을 두던 종래의
직업훈련의무제도를 확대한 것으로서 정부는 이 사업을 통해 근로자의
직업생활 전기간의 능력향상을 지원하여 질높은 삶을 영위케한다는것이다.

그러나 이 사업은 도입초기인점을 감안하더라도 그 이용률이 극히
저조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아쉬움을 주고 있다.

정부는 제도마련에 만족할 것이 아니라 조속히 활성화되도록 지원폭을
확대하고 홍보를 강화하여야 하며 대학과 기업도 각자의 역할을 분명히
인식하고 적극 호응하여야 한다.

정부 대학 기업이 힘을 합쳐 기술혁신과 무한경쟁의 파고를 넘을 수 있는
기틀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8월 20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