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부 신설] 당분간 '현위치' .. 청사 어디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총인원만도 약 9,000여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 거대 해양부의 청사
입지문제를 놓고 정부관계부처가 골머리를 앓고 있다.
당초 해운항만청 수산청등 청단위 정부기관은 총무처의 정부청사 배치계획
에 따라 내년부터 대전 제3종합청사로 옮기게돼 있었으나 이번에 해양부로
격상되는 바람에 이전을 하지 않아도 되게 됐다.
그렇지만 현재 서울종로에 자리잡고 있는 해항청이나 서울역앞 대우빌딩에
세들어 있는 수산청에 새 둥지를 틀기에는 지금도 너무 비좁은 상태다.
빠르면 8월께 해양부를 출범시킨다는 정부의 설립일정을 감안해 볼때
신청사 마련은 시급한 과제가 아닐수 없다.
따라서 당분간은 "현 위치"대로 근무하되 "본부"는 현 해항청에 마련될
가능성이 높다는게 정부관계자들의 전망이다.
경제부처가 모여있는 과천으로 입주해와 청사조정이 이뤄질 공산이 있다는
지적도 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해양대국의 상징이 될 해양부가 당연히 바다를 끼고
자리잡아야 한다는 목소리도 대두되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이와관련, "발상의 전환"을 기해야 한다는게 청와대핵심부의 의중이기도해
해양부의 항만입지론은 힘을 얻어가고 있다.
이 경우 가덕도신항만개발 마린토피아건설등으로 21세기 동북아 물류중심
기지로의 탈바꿈을 서두르고 있는 부산에 상징적으로 해양부가 자리잡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
해양부의 부산시대가 열릴 경우 현재 수영만에 건립 추진중인 "제2 한국
종합전시장(KOEX)" 또는 가덕도신항만배후도시에 입주할 것이 유력하다.
인천국제공항건설로 역시 동북아의 중추물류센터로 부상할 인천으로
갈 가능성도 없지 않다는 예측도 나오고 있다.
이는 다른 정부부처와 업무협조의 원활화를 기할수 있는 이점이 있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 김삼규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6월 1일자).
입지문제를 놓고 정부관계부처가 골머리를 앓고 있다.
당초 해운항만청 수산청등 청단위 정부기관은 총무처의 정부청사 배치계획
에 따라 내년부터 대전 제3종합청사로 옮기게돼 있었으나 이번에 해양부로
격상되는 바람에 이전을 하지 않아도 되게 됐다.
그렇지만 현재 서울종로에 자리잡고 있는 해항청이나 서울역앞 대우빌딩에
세들어 있는 수산청에 새 둥지를 틀기에는 지금도 너무 비좁은 상태다.
빠르면 8월께 해양부를 출범시킨다는 정부의 설립일정을 감안해 볼때
신청사 마련은 시급한 과제가 아닐수 없다.
따라서 당분간은 "현 위치"대로 근무하되 "본부"는 현 해항청에 마련될
가능성이 높다는게 정부관계자들의 전망이다.
경제부처가 모여있는 과천으로 입주해와 청사조정이 이뤄질 공산이 있다는
지적도 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해양대국의 상징이 될 해양부가 당연히 바다를 끼고
자리잡아야 한다는 목소리도 대두되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이와관련, "발상의 전환"을 기해야 한다는게 청와대핵심부의 의중이기도해
해양부의 항만입지론은 힘을 얻어가고 있다.
이 경우 가덕도신항만개발 마린토피아건설등으로 21세기 동북아 물류중심
기지로의 탈바꿈을 서두르고 있는 부산에 상징적으로 해양부가 자리잡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
해양부의 부산시대가 열릴 경우 현재 수영만에 건립 추진중인 "제2 한국
종합전시장(KOEX)" 또는 가덕도신항만배후도시에 입주할 것이 유력하다.
인천국제공항건설로 역시 동북아의 중추물류센터로 부상할 인천으로
갈 가능성도 없지 않다는 예측도 나오고 있다.
이는 다른 정부부처와 업무협조의 원활화를 기할수 있는 이점이 있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 김삼규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6월 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