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계는 협력적 노사관계의 정착을 위해 사회제반부문의 과감한
"자기혁신"을 요구하고있다.

노총의 이정식연구위원은 "말로만 떠든다고 협력이 되는 것이 아니다.

협력의 조건은 상호존중과 신뢰이며 근로자의 광범위한 참여가 보장
되어야 한다"고 전제한뒤 "무엇보다 경제계가 과거와 달라진 모습을
보여야 한다.

소유집중의 완화, 비자금 관행철폐, 권한의 분산 등 확연히 달라진
모습을 갖춰야 노사협력에대한 근로자들의 지지를 얻을 수 있다"고
말한다.

이같은 주장은 노동계 내부에서 상당한 설득력을 갖고있다.

노사관계라는 것이 사회의 정치경제적 상황이나 기업의 관행으로부터
동떨어진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해 11월 출범한 민주노총은 노전대통령의 비자금파문과
관련, 올해 임.단협에서 쟁점화를 시도하고 있다.

노동계는 또 정부의 공정한 조정자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지난해 한국통신사태에서 주무부처인 노동부가 제 역할을 하지못했던
것에 대한 불만이 높다.

노사문제를 청와대가 주도함으로써 오히려 정부정책에 대한 근로자들의
냉소적인 태도를 유발했다는 것이다.

충남 아산소재 두원공조의 정덕순노조위원장은 "정부정책은 독자성과
일관성 신뢰성등 3박자를 고루 갖추어야한다"며 "노사협력 분위기는
최대한의 노사자율이 보장되는 상황에서 자연스럽게 우러 나오는 것"
이라고 지적한다.

노동계는 그러나 경영계와 정부에 대한 주문과 별도로 내부적으로도
상당히 많은 숙제를 안고 있다는 것을 인정하고 있다.

태일정밀의 송기선 노조위원장은 "노조는 이제 자신의 존재와 역할에
대한 자신감을 가질 때가 됐다"고 말한다.

과거처럼 존립기반이 약하거나 존립의 필요성에 의문이 제기되는 상황이
아니라는 주장이다.

미원 홍택련 노조위원장의 얘기도 이와 비슷하다.

그는 "노동조합도 과감한 자기변신에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면서
"무엇보다 생산에 책임을 지는 자세를 갖고 대등한 동반자 관계로서
사용자측을 대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그는 "노사관계는 때로는 대립하지만 결국 협력해야 되는것 아니냐"고
강조한다.

지난해 민노총 계열로 현대자동차위원장에 당선된 정갑득씨 역시
"WTO출범, 자동차시장개방 등으로 회사가 처한 냉혹한 현실을 잘 알고
있다"면서 "분배의 정의가 실현되고 노조를 대등한 관계로 인정한다면
생산성 향상이나 품질향상에 앞장설 것"을 천명하고 있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1월 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