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삼익의 부도로 약 3천5백억원가량을 물린 채권은행들은 5일
아침부터 대책회의를 갖는등 부산을 모습을 보였으나 뾰족한 대책이
나오지 않아 고민들.

특히 여신이 8백80억원으로 가장 많은 서울은행은 (주)삼익이 은행측과
전혀 상의없이 부도직전인 지난달 29일 법정관리신청을 한 것으로
확인되자 매우 당혹해하는 모습.

서울은행관계자는 "(주)삼익측이 법정관리신청을 전혀 상의하지 않았다"며
"법정관리신청의도와 자구노력계획등을 검토한뒤 구체적인 대책을 마련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재정경제원과 한국은행등 감독당국은 이번 (주)삼익의 부도가
기본적으로 "은행과 거래업체"간의 문제인 만큼 직접 나서서 (주)삼익을
지원하는 일을 없을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청주지역경제나 (주)삼익의 하청업체들에 대한
긴급자금지원은 고려해볼수 있지만 (주)삼익에 대한 지원은 전혀
검토하지 않고있다"고 말했다.

은감원관계자는 "우선 (주)삼익이 자구계획을 세운뒤 여신이 가장 많은
서울은행측과 협의할 것으로 본다"며 "현재로선 유원건설의 예에서 처럼
법정관리에 들어가는 절차를 밟으면서 제3자인수를 추진하는게 가장
유력하지 않겠냐"고 설명.

그러나 서울은행을 제외한 다른은행들은 대부분 대출금액만큼의 담보를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법정관리보다는 당장의 채권회수를
희망하고 있어 (주)삼익의 처리가 서울은행의 의도대로 진행될지는 의문.

<>.금융계에서는 이번에 부도난 (주)삼익의 이종록회장이 형식상이나마
현재 산업합리화업체로 제일은행의 관리를 받고있는 삼익주택의 소유주
라는 점에서 "부실기업의 오너였던 사람이 어떻게 다른 회사를 설립,
은행들로부터 자금지원을 받을수 있었는지 모르겠다"며 의문를 제기.

특히 이회장은 자신이 경영하던 삼익주택이 86년 산업합리화업체로
지정되기 2년전인 84년 현재 (주)삼익의 모체였던 (주)대한팔크를
설립했다는 점에 대해 의아해 하는 모습.

한 관계자는 "이회장이 삼익주택을 잃을 것으로 생각하고 숨겨놓은
개인자금으로 대한팔크를 세운것 같다"며 "당시 회사를 세울 돈이
있었다면 삼익주택의 경영정상화에 써야 했었다"고 지적.

또 다른 관계자는 "이회장이 이번에 (주)삼익을 부도내기에 앞서
법정관리를 신청한 것도 같은 맥락에서 봐야한다"며 "부실기업주들이
정상적인 금융거래를 하지 못하도록 철저한 제재가 있어야 할 것"이라고
주장.

한편 삼익주택의 경영관리를 맡고 있는 제일은행측은 이회장이 삼익주택의
지분 17%를 가지고 있지만 이를 담보로 잡혀놓고 있어 주주권행사를 하지
못하는등 경영에는 일체 관여하지않고 있다고 설명.

< 육동인기자 >

<>.(주)삼익에 투자금융사들과 종합금융사들이 각각 5백억원씩 모두
1천억원을 대출해준 제2금융권은 대출액 전부를 서울은행등이 지급보증
해줬다며 느긋한 표정.

투금사중에선 신한은행 계열의 제일투자금융이 3백45억원,한화그룹
계열사인 삼희투자금융이 1백40억원을 빌려줬으나 "서울 한미 평화
주택은행등의 지급보증이 있어 대출회수에 전혀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

투금사 관계자는 "거의 신용대출이었던 지난 3월의 덕산그룹 부도때와는
상황이 완전히 다르다"며 "(주)삼익의 신용도를 낮게 평가해 처음부터
신용대출은 없었다"고 설명.

< 정구학기자 >

<>.보험권의 (주)삼익에 대한 대출및 보증금액은 3백67억8천만원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으나 해당보험사들은 대다수 채권에 대해 담보나
지급보증을 받아놓은 상태여서 느긋한 표정들.

대출금액은 삼성 교보 제일 한국등 4개 생보사가 58억8천만원에 달하나
모두 지급보증조건으로 밝혀졌다.

특히 삼익에 대해 2백79억원의 각종 보증을 선 대한보증보험도 금융형
보증인 사채보증인 1백33억7천만원에 달하나 담보설정이 1백%된 상태이며
나머지 보증은 이행허가보증보험등으로 부도가 나도 실제 보험금이 나가지
않는 것이라고 설명.

한국보증보험도 30억원상당의 사업자주택자금 리스보증실적이 있으나
삼익건설이 연대보증을 서 보험금 지급이후 구상이 가능,실제 손해는
없을 것으로 전망.

생보사중에선 제일생명이 2일까지 신용대출 12억5천만원을 포함,41억원을
대출해줬으나 부도직전 신용대출을 전액 회수하는등 생보사들의 피해도
거의 없는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 송재조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5년 10월 6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