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차 배기량 "논란" .. 대우 '800cc', 현대/아시아 '1천cc'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천cc로 바꿔야 한다"
"1천cc는 무슨 놈의 1천cc. 8백cc가 적당하다"
경차의 기준은 도대체 뭔가.
배기량이다.
그렇다면 배기량은 몇 이하여야 하는가.
경차기준을 놓고 업계가 때아닌 공방을 벌이고 있다.
공세를 취하는 쪽의 선발대는 현대.기존 8백cc에서 1천cc로 경차범위를
확대해야 한다는게 현대의 주장이다.
그러나 대우는 기존의 8백cc 기준을 결코 허물수 없다는 "진지고수 작전"
을 취하고 있다.
아시아자동차는 현대에 동조하고 있고 기아자동차는 양쪽의 다툼을 지켜
보는 입장이다.
이같은 "경차 공방"은 행정쇄신위원회가 경차에 대한 지원방안을
내놓으면서부터 시작됐다.
행쇄위가 경차에 대해 세제지원등 다양한 대책을 마련했지만 그 혜택을
받을 경차의 기준설정은 유보해놓은 상태여서 그기준 설정이 어떻게 되느냐에
따라 업체의 이해가 갈리기때문이다.
현대의 공세논리는 이렇다.
우선 배기량을 높이지 않고서는 아무리 지원을 해도 수요를 끌어들이는데
한계가 있다는 데서 출발한다.
국민정서가 대형승용차를 선호하는 마당에 8백cc 차를 사쓰겠냐는 것이다.
현대는 여기에 경차도 수출없이 내수만으로는 살아가기 힘들다는 점을
들고 있다.
"일본을 제외한 대부분 국가들이 국민차 개념의 자동차를 1천cc급으로 운영
하고 있어 8백cc급 경차로는 수출이 불가능하다"(현대자동차 기획실 한진수부
장)는 것이다.
유럽에서 팔리는 경차의 90% 이상이 1천cc이고 8백cc급의 판매는 미미
하다는 것을 그 예로 들고 있다.
현대의 "우군"으로 나타나 "1천 고지"를 협공하는 또다른 업체는 아시아
자동차.
이 회사의 논리도 수출시장이다.
"후진국시장에서도 1천cc급을 선호하기 때문"(아시아자동차 기획실 김재준
이사)이라는 설명이다.
그러나 대우는 8백cc진지 사수에 완강하다.
대우는 경차범위 논란이 일어난 것 자체를 경쟁사의 이기주의 탓으로
돌린다.
지난89년 국내 처음으로 경차를 도입할 당시 정부와 업계가 공동협의한
결론이 8백cc였다는 점도 덧붙인다.
그동안 대우와 협력업체들이 경영수지 악화에도 꾸준히 연구개발을 진행
해 왔다는 점을 완전히 무시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근본적으로 "경차가 1천 가 된다면 국민차로서의 의미는 끝"(대우국민차
기획실 김병호차장)이라는 지적이다.
대우는 수출측면에서도 그리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반박한다.
지난해 1만5천대의 경차를 내보냈고 올해는 물량을 3만대까지 늘릴수
있는데 왜 수출에 문제가 되느냐는 식이다.
특히 현대가 유럽의 미니카시장에 1천cc급이 주류라고 말하지만 그것은
차체가 우리나라의 경차기준인 전폭 1천6백mm,전장 3천5백mm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외관상으로 이미 경차범위를 벗어난다는게 대우측의 주장이다.
말하자면 프라이드정도 크기의 차는 경차가 될수 없다는 것이다.
이같은 공방은 원인은 각업체들이 그동안 진행해온 차량개발 과정이
다르다는 데서 비롯한다.
현대자동차는 3천억원의 개발비를 들여 97년 중반 양산을 목표로 고유
모델 경차를 개발중이다.
8백cc급과 1천cc급 두가지를 개발중이지만 이 회사는 역시 1천cc급을
주력으로 삼을 계획이다.
그런만큼 경차기준이 8백cc급으로 남게되면 내수용과 수출용 두가지를
함께 생산해야하는 어려움이 따른다.
경차기준을 1천cc로 바꾸려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반면 대우가 97년 내놓을 티코 후속모델 M카는 전장과 전폭이 100mm씩
커지지만 배기량은 여전히 8백cc급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1천cc로 바뀔 경우 개발비와 설비투자가 더 들어가게 된다.
기아가 경차공방에 뛰어들지 않고 관망자세를 취하고 있는 것도 물론
차량개발과 관계가 있다.
기아는 이미 티코 후속모델 크기와 같은 경차 "모닝"을 개발해놓고 있다.
그러나 기아는 이차에 8백cc엔진 탑재는 물론 1천cc도 탑재가능토록 준비
가 끝난 상태여서 "오불관언"이 된셈이다.
그래서인지 기아는 경차기준에서 배기량이 아닌 크기를 달리해보자는 제의
를 조심스럽게 내놓고 있다.
프라이드나 아벨라를 경차 범주에 넣어보겠다는 속셈일수 있다.
"2백km"라는 작은 차이가 업계에 불러일으키는 파장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관계당국이 과연 어느쪽의 손을 들어줄까.
두고 볼일이다.
< 김정호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5년 7월 20일자).
"1천cc는 무슨 놈의 1천cc. 8백cc가 적당하다"
경차의 기준은 도대체 뭔가.
배기량이다.
그렇다면 배기량은 몇 이하여야 하는가.
경차기준을 놓고 업계가 때아닌 공방을 벌이고 있다.
공세를 취하는 쪽의 선발대는 현대.기존 8백cc에서 1천cc로 경차범위를
확대해야 한다는게 현대의 주장이다.
그러나 대우는 기존의 8백cc 기준을 결코 허물수 없다는 "진지고수 작전"
을 취하고 있다.
아시아자동차는 현대에 동조하고 있고 기아자동차는 양쪽의 다툼을 지켜
보는 입장이다.
이같은 "경차 공방"은 행정쇄신위원회가 경차에 대한 지원방안을
내놓으면서부터 시작됐다.
행쇄위가 경차에 대해 세제지원등 다양한 대책을 마련했지만 그 혜택을
받을 경차의 기준설정은 유보해놓은 상태여서 그기준 설정이 어떻게 되느냐에
따라 업체의 이해가 갈리기때문이다.
현대의 공세논리는 이렇다.
우선 배기량을 높이지 않고서는 아무리 지원을 해도 수요를 끌어들이는데
한계가 있다는 데서 출발한다.
국민정서가 대형승용차를 선호하는 마당에 8백cc 차를 사쓰겠냐는 것이다.
현대는 여기에 경차도 수출없이 내수만으로는 살아가기 힘들다는 점을
들고 있다.
"일본을 제외한 대부분 국가들이 국민차 개념의 자동차를 1천cc급으로 운영
하고 있어 8백cc급 경차로는 수출이 불가능하다"(현대자동차 기획실 한진수부
장)는 것이다.
유럽에서 팔리는 경차의 90% 이상이 1천cc이고 8백cc급의 판매는 미미
하다는 것을 그 예로 들고 있다.
현대의 "우군"으로 나타나 "1천 고지"를 협공하는 또다른 업체는 아시아
자동차.
이 회사의 논리도 수출시장이다.
"후진국시장에서도 1천cc급을 선호하기 때문"(아시아자동차 기획실 김재준
이사)이라는 설명이다.
그러나 대우는 8백cc진지 사수에 완강하다.
대우는 경차범위 논란이 일어난 것 자체를 경쟁사의 이기주의 탓으로
돌린다.
지난89년 국내 처음으로 경차를 도입할 당시 정부와 업계가 공동협의한
결론이 8백cc였다는 점도 덧붙인다.
그동안 대우와 협력업체들이 경영수지 악화에도 꾸준히 연구개발을 진행
해 왔다는 점을 완전히 무시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근본적으로 "경차가 1천 가 된다면 국민차로서의 의미는 끝"(대우국민차
기획실 김병호차장)이라는 지적이다.
대우는 수출측면에서도 그리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반박한다.
지난해 1만5천대의 경차를 내보냈고 올해는 물량을 3만대까지 늘릴수
있는데 왜 수출에 문제가 되느냐는 식이다.
특히 현대가 유럽의 미니카시장에 1천cc급이 주류라고 말하지만 그것은
차체가 우리나라의 경차기준인 전폭 1천6백mm,전장 3천5백mm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외관상으로 이미 경차범위를 벗어난다는게 대우측의 주장이다.
말하자면 프라이드정도 크기의 차는 경차가 될수 없다는 것이다.
이같은 공방은 원인은 각업체들이 그동안 진행해온 차량개발 과정이
다르다는 데서 비롯한다.
현대자동차는 3천억원의 개발비를 들여 97년 중반 양산을 목표로 고유
모델 경차를 개발중이다.
8백cc급과 1천cc급 두가지를 개발중이지만 이 회사는 역시 1천cc급을
주력으로 삼을 계획이다.
그런만큼 경차기준이 8백cc급으로 남게되면 내수용과 수출용 두가지를
함께 생산해야하는 어려움이 따른다.
경차기준을 1천cc로 바꾸려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반면 대우가 97년 내놓을 티코 후속모델 M카는 전장과 전폭이 100mm씩
커지지만 배기량은 여전히 8백cc급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1천cc로 바뀔 경우 개발비와 설비투자가 더 들어가게 된다.
기아가 경차공방에 뛰어들지 않고 관망자세를 취하고 있는 것도 물론
차량개발과 관계가 있다.
기아는 이미 티코 후속모델 크기와 같은 경차 "모닝"을 개발해놓고 있다.
그러나 기아는 이차에 8백cc엔진 탑재는 물론 1천cc도 탑재가능토록 준비
가 끝난 상태여서 "오불관언"이 된셈이다.
그래서인지 기아는 경차기준에서 배기량이 아닌 크기를 달리해보자는 제의
를 조심스럽게 내놓고 있다.
프라이드나 아벨라를 경차 범주에 넣어보겠다는 속셈일수 있다.
"2백km"라는 작은 차이가 업계에 불러일으키는 파장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관계당국이 과연 어느쪽의 손을 들어줄까.
두고 볼일이다.
< 김정호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5년 7월 20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