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창 진행중인 서울은 안전한가에 시민들의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더우기 2기 지하철의 경우 공사를 서둘러 실시하는 바람에 여기저
기에서 균열이 발생하는등 부실하게 시공한 것으로 밝혀져 시민들의
우려는 더욱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28일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 3월말 현재 서울 극동 대한 한진 강남등
5개 가스공급업체가 서울전역의 지하에 설치한 가스배수관은 모두
7천1백여 에 달하고 있다.
메탄계열인 LNG(액화천연가스)는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과 대전권역에
공급되고 있으며 폭발사고가 발생한 대구를 비롯 부산 목포 광주등은
프로판계열의 LPG(액화석유가스)가 각 가정등에 공급되고 있다.
서울시관계자는 "LPG보다 LNG는 안전성이 높아 사고 위험성이 훨씬
낮다"며 "고의로 가스배수관을 건드리지 않는 한 폭발사고의 위험성은
없다"고 말하고 있다.
LPG는 비중이 공기비중을 1로 기준할 때 비중이 1.5로 공기보다 무거
워 누출될 경우 땅바닥으로 가라앉고 LNG는 비중이 0.5~0.6으로 누출되
며 공기중에 분산돼 LNG의 경우 폭발위험이 그만큼 적다는 것이다.
지하철등 지하구조물 공사를 시행하는 경우 굴착업체는 관할 구청의
"굴착승인"을 얻은 후 도시가스회사에 통보,지하매설물도면을 받아
시공업체와 도시가스업체의 가스안전관리원 2명이 입회한 가운데
굴착토록 하고 있다.
또한 안전관리의 유지를 위해 가스공급업체에서 순회점검토록 하고
있어 폭발로 이어지는 대형 참사는 발생할 가능성이 희박하다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현재 진행중인 지하철공사장이 총 연장 1백45 ,1백6개 공구,
8백49개작업장에 이르며,도시가스배관이 지나가는 도시고속화도로
공사현장도 8곳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따라 관련 전문가들은 서울역시 가스폭발 사고의 안전지대라고
마음놓고 있기에는 위험요소가 많다고 지적하고 있다.
실제로 서울에서도 지난 92년 2기 지하철 5-36공구(마장동~청계천제방)
에서 대형 폭발사고로 이어지지는 않았으나 도시가스 누출사고가 발생한
사례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LNG의 경우 개방된 공간에서는 누출되더라도 공중으로 흩어져
그만큼 폭발사고의 우려가 적지만 밀폐된 공간에서는 LPG와 하등 다를
것이 없다.
지하철공사장의 경우 공사구간당 3백~5백m씩 간격으로 환기구를 설치해
놓고 있느나 사실상 밀폐된 공간이어서 도시가스가 누출될 경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전문가들은 또 가스배관공사의 대부분이 수의계약에 의해 진행되고 있어
부실공사의 우려가 있다며 이로인해 안전사고의 발생을 야기할 가능성마저
높다고 지적하고 있다.
지난해 서울시 행정사무감사는 도시가스공급을 나누어 관리하는 5개
도시가스회사의 가스배관공사 입찰방식이 수의계약으로 특정업체의 이익을
보장해주거나 최저가 낙찰제를 시행,부실공사 우려가 높다고 지적하고
있다.
특히 시내 땅속의 도시가스배수관 상.하수도 전선 통신케이블등 매설물
의 위치를 명확하게 알려주는 "지하지도"가 없어 도로굴착 공사때 파손
사고가 빈발하는 것도 심각한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도시가스배관도는 도시가스업체가,하수도면은 시 하수국이,고압전선은
한전,통신케이블은 한국통신이 각각 따로 보관하고 있어 도로굴착 허가를
내줄때 구조적으로 완벽한 검토를 할 수 없는 실정이다.
이에따라 서울시는 지하철공사 현장과 도시고속화도로 공사현장등
대가스배수관이 지나가는 대형 공사장에 대해 도시가스회사와 공사기관이
긴밀히 협조,안전관리를 강화하라고 긴급 지시하는 대책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특히 2기 지하철 건설공사 현장 1백6개 공구에 대해서는 이날 중으로
시공사와 감리자 현장감독에게 안전여부를 점검,보고토록 했다.
또 다음달 3일까지 산하 지하철건설본부 안전관리실 전직원을 동원,1백6개
공구에 대한 도시가스배수관에 대한 안전여부를 확인토록 했다.
또 이들 공사장에 대해서는 도시가스배관도를 확인한 후 공사를 실시
하도록 지도하는 한편 가스매설 주의표시를 설치토록 했다.
< 방형국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5년 4월 29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