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은행서 담보권 .. 충북투금 '인수' 누가 관심 갖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난 1월 새주인을 맞은 지 두 달도 못돼 업무정지라는 철퇴를 맞은 충북
투금은 어떻게 될 것인가.
정부는 일단 충북투금에 대해 신용관리기금의 관리및 실사를 거쳐 제3자
인수나 파산여부를 결정짓는다는 방침을 정해놓고 있다.
채권 채무상태 파악등 실사를 해봐 회생가능성이 있으며 제3자 인수를 추
진하겠으나 도저히 부실경영으로 인해 살릴수 없다는 판단이 서면 금융기관
도 망할 수 있다는 본보기로 삼겠다는 복안이다.
금융계는 충북투금을 파산시킬 경우 신용관리기금법상 2천6백여명에 이르
는 예금주들에게 1인당 1천만원밖에 보상할 없어 예금주들의 거센 반발과
금융기관 전체의 도미노 불신현상이 벌어지기 때문에 파산가능성은 적다고
점치고있다.
그렇다고 정부가 지난해말 현재 부실채권이 4백50억원대에 이르는 등 빈껍
데기 뿐인 충북투금을 제3자에게 인수시키는 방법도 간단하지만은 않다.
6공때까지만 해도 부실기업을 제3자에게 넘길 때 인수자금지원과 부채탕
감이라는 인센티브를 주는 정부의 "관치금융"방식이 기업들에게 먹혀들었다.
하지만 금융자율화를 부르짖는 문민정부 하에서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과
밀실거래는 적법성 시비를 불러일으킬 수도 있기 때문이다.
현재 덕산그룹의 소유주식 50만4천주(16.8%)는 한미은행에 50억 대출 담보
용으로 잡혀있다.
한미은행이 충북투금 제3자인수에 키를 쥐고 있는것이다.
덕산그룹이 빌려간 돈을 갚지 못한다면 한미은행은 충북투금을 직접 자회사
로 인수경영하거나 담보권을 행사,주식을 공매 또는 수의매각할 수 있다.
한미리스와 한미창업투자등 2개 자회사를 소유한 한미은행이 충북투금 주
식을 판다면 비교적 높은 값을 받을 수 있는 공매방식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다.
이 경우 지난해 덕산그룹에 넘어가기전 충북투금 인수를 추진했다가 매각
대금이 비싸다는 이유로 인수를 포기했던 조흥은행 삼희투금 대신증권 성원
건설등이 응찰할 것으로 보인다.
충북투금의 주식분포는 덕산그룹이 소유한 16.8%외에 세원건설 오운균회장
이 4%정도를 갖고 있다는 것만 알려져 있을 뿐 나머지 소액주주들의 대해서
는 주식시장에거 거래가 빈번해 정확히 파악되지 않고있다.
<정구학기자>
(한국경제신문 1995년 3월 3일자).
투금은 어떻게 될 것인가.
정부는 일단 충북투금에 대해 신용관리기금의 관리및 실사를 거쳐 제3자
인수나 파산여부를 결정짓는다는 방침을 정해놓고 있다.
채권 채무상태 파악등 실사를 해봐 회생가능성이 있으며 제3자 인수를 추
진하겠으나 도저히 부실경영으로 인해 살릴수 없다는 판단이 서면 금융기관
도 망할 수 있다는 본보기로 삼겠다는 복안이다.
금융계는 충북투금을 파산시킬 경우 신용관리기금법상 2천6백여명에 이르
는 예금주들에게 1인당 1천만원밖에 보상할 없어 예금주들의 거센 반발과
금융기관 전체의 도미노 불신현상이 벌어지기 때문에 파산가능성은 적다고
점치고있다.
그렇다고 정부가 지난해말 현재 부실채권이 4백50억원대에 이르는 등 빈껍
데기 뿐인 충북투금을 제3자에게 인수시키는 방법도 간단하지만은 않다.
6공때까지만 해도 부실기업을 제3자에게 넘길 때 인수자금지원과 부채탕
감이라는 인센티브를 주는 정부의 "관치금융"방식이 기업들에게 먹혀들었다.
하지만 금융자율화를 부르짖는 문민정부 하에서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과
밀실거래는 적법성 시비를 불러일으킬 수도 있기 때문이다.
현재 덕산그룹의 소유주식 50만4천주(16.8%)는 한미은행에 50억 대출 담보
용으로 잡혀있다.
한미은행이 충북투금 제3자인수에 키를 쥐고 있는것이다.
덕산그룹이 빌려간 돈을 갚지 못한다면 한미은행은 충북투금을 직접 자회사
로 인수경영하거나 담보권을 행사,주식을 공매 또는 수의매각할 수 있다.
한미리스와 한미창업투자등 2개 자회사를 소유한 한미은행이 충북투금 주
식을 판다면 비교적 높은 값을 받을 수 있는 공매방식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다.
이 경우 지난해 덕산그룹에 넘어가기전 충북투금 인수를 추진했다가 매각
대금이 비싸다는 이유로 인수를 포기했던 조흥은행 삼희투금 대신증권 성원
건설등이 응찰할 것으로 보인다.
충북투금의 주식분포는 덕산그룹이 소유한 16.8%외에 세원건설 오운균회장
이 4%정도를 갖고 있다는 것만 알려져 있을 뿐 나머지 소액주주들의 대해서
는 주식시장에거 거래가 빈번해 정확히 파악되지 않고있다.
<정구학기자>
(한국경제신문 1995년 3월 3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