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칼럼] 원시은하계 발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우주의 끝은 과연 있을까,그것을 단언한 사람은 아무도 없다. 광대무변
하다고 표현할수밖에 없는게 우주다.
천문학자들이 우주의 규모를 측정하는게 광년이라는 단위를 사용하는
것도 그 한 단면이다.
1초동안에 약30만 를 날리는 광선이 1년동안에 가는 거리(약9.4조)를
1광년으로 하는 측정단위라야만 우주의 무한대를 그런대로 가늠해 볼수
있기 때문이다.
태양계가 속해있는 은하계만 하더라도 그 직경이 무려 10만광년이 넘을
정도로 엄청난 크기다.
가스와 먼지로 구성된 거대한 주름에 가려진 신비의 영역으로 생각되어
오던 이 은하계의 베일을 벗긴 사람은 독일 출신의 영국천문학자 윌리엄
허셜(1738~1822)이었다.
그의 관측으로는 은하계의 크기가 장직경 8,000광년,단직경 1,500광년
이었고 별들의 총숫자는 3억개였다.
물론 그것은 실제보다 너무나 많이 평가절하된 것이었다.
80년대전까지만 하더라도 대부분의 천문학자들은 이 은하계가 우주의
전부이고 그 너머에는 아무것도 없는 공간이 존재할뿐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그뒤 더욱 성능이 향상된 망원경들이 속속 출판되면서 그러한
생각이 잘못된 사실로 밝혀졌다.
옛날에 관찰된 희미한 조각점들이 태양계가 속한 은하만큼 크거나 더
큰 은하계외 성치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은하계 너머로 수십억광년 떨어진 다른 은하계들이 있다는 것이다.
1963년 네덜란드의 천문학자 마르텐 슈미트가 그 정체를 알수없는
퀘이사(의사성체)를 처음으로 발견해 낸 이후 무려 200여개가 관측
되었는데 최근에 찾아진 것들 가운데는 무려 100억~200억광년이나
떨어진 것들도 있다.
퀘이사는 현재로선 인간에게 알려진 가장 먼 거리에 있는 은하게의
일부분일지도 모른다.
그런데 이번에는 미국 천문학자들이 지금까지 발견된 은하계중 가장
멀리 떨어진 120억~140억광년 거리의 원시은하계를 관측하는데 성공해
우주사에 한걸음을 더 내디디게 되었다.
이것도 물론 과학기술의 쉴새없는 진보의 소산이다.
미래의 언젠가에는 200억광년 거리를 훨씬 뛰어 넘어 무변광대하게
펼쳐지는 우주의 영역이 될날이 있을지도 모른다.
태양계속의 지구,은하계속의 태양계,무수한 은하계들속의 은하계-우주를
배경으로 하여 우리가 살고 있는 주변을 되돌아 볼때 왜소하고 편협한
삶에 일말의 회의를 갖지 않을수 없게 된다.
(한국경제신문 1994년 12월 9일자).
하다고 표현할수밖에 없는게 우주다.
천문학자들이 우주의 규모를 측정하는게 광년이라는 단위를 사용하는
것도 그 한 단면이다.
1초동안에 약30만 를 날리는 광선이 1년동안에 가는 거리(약9.4조)를
1광년으로 하는 측정단위라야만 우주의 무한대를 그런대로 가늠해 볼수
있기 때문이다.
태양계가 속해있는 은하계만 하더라도 그 직경이 무려 10만광년이 넘을
정도로 엄청난 크기다.
가스와 먼지로 구성된 거대한 주름에 가려진 신비의 영역으로 생각되어
오던 이 은하계의 베일을 벗긴 사람은 독일 출신의 영국천문학자 윌리엄
허셜(1738~1822)이었다.
그의 관측으로는 은하계의 크기가 장직경 8,000광년,단직경 1,500광년
이었고 별들의 총숫자는 3억개였다.
물론 그것은 실제보다 너무나 많이 평가절하된 것이었다.
80년대전까지만 하더라도 대부분의 천문학자들은 이 은하계가 우주의
전부이고 그 너머에는 아무것도 없는 공간이 존재할뿐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그뒤 더욱 성능이 향상된 망원경들이 속속 출판되면서 그러한
생각이 잘못된 사실로 밝혀졌다.
옛날에 관찰된 희미한 조각점들이 태양계가 속한 은하만큼 크거나 더
큰 은하계외 성치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은하계 너머로 수십억광년 떨어진 다른 은하계들이 있다는 것이다.
1963년 네덜란드의 천문학자 마르텐 슈미트가 그 정체를 알수없는
퀘이사(의사성체)를 처음으로 발견해 낸 이후 무려 200여개가 관측
되었는데 최근에 찾아진 것들 가운데는 무려 100억~200억광년이나
떨어진 것들도 있다.
퀘이사는 현재로선 인간에게 알려진 가장 먼 거리에 있는 은하게의
일부분일지도 모른다.
그런데 이번에는 미국 천문학자들이 지금까지 발견된 은하계중 가장
멀리 떨어진 120억~140억광년 거리의 원시은하계를 관측하는데 성공해
우주사에 한걸음을 더 내디디게 되었다.
이것도 물론 과학기술의 쉴새없는 진보의 소산이다.
미래의 언젠가에는 200억광년 거리를 훨씬 뛰어 넘어 무변광대하게
펼쳐지는 우주의 영역이 될날이 있을지도 모른다.
태양계속의 지구,은하계속의 태양계,무수한 은하계들속의 은하계-우주를
배경으로 하여 우리가 살고 있는 주변을 되돌아 볼때 왜소하고 편협한
삶에 일말의 회의를 갖지 않을수 없게 된다.
(한국경제신문 1994년 12월 9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