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는 3일 북한이 잇달아 담화를 내고 군사정찰위성 발사를 정당화한 데 대해 "탄도미사일 기술을 활용한 어떠한 발사도 금지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결의의 명백한 위반"이라고 재차 경고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날 북한 당국이 군사정찰위성 발사를 '주권적 권리'라고 강변한 것과 관련해 "국제사회는 이를 강력히 규탄하고 있다"며 이같은 입장을 밝혔다.
북한이 "정당하고 합법적인 주권적 권리 행사"라고 주장하는 우주개발권에 대해서는 "유엔 헌장을 포함한 국제법을 준수하고, 국제평화와 안전을 유지하는 국가가 향유할 수 있는 권리"라며 조목조목 반박했다.
이 당국자는 북한이 금지된 발사를 통해 모든 유엔 회원국에 부과되는 유엔 헌장상의 안보리 결정 준수 의무(제25조)를 이미 위반했고, 이는 유엔헌장 포함 국제법에 따라 국제평화와 안전의 유지를 위해 우주를 탐사·사용해야 한다는 우주조약(제3조)에도 위배된다고 지적했다.
특히 북한이 "만리를 굽어보는 눈과 만리를 때리는 강력한 주먹을 수중에 틀어쥐었다"고 밝히면서 북한의 '위성' 개발이 핵·미사일 프로그램을 위한 것이며 평화적 목적이 아님을 스스로 드러냈다고 꼬집었다.
북한이 군사논평원 글을 통해 한국의 정찰위성발사 등 자위조치가 9·19 남북군사합의에 대한 위반이라고 비난한 데 대해서는 "우리 정부가 취하고 있는 국민의 생명과 국가안전보장을 위한 조치는 국제법에 부합하고 국제평화와 안보에 위협이 되지 않는 정당한 조치"라고 강조했다.
앞서 논평원은 한국의 정찰위성 발사에 대해 "우리의 위성발사가 북남군사분야합의서에 대한 '위반'으로 된다면 (중략) 이미 정해진 11월 30일에서 12월 2일
다산경영상 심사위원회는 올해 수상자로 화장품 제조 분야에서 31년간 우직하게 세계화의 길을 걸으며 글로벌 뷰티 제조업자개발생산(ODM) 시장을 개척한 이경수 코스맥스그룹 회장과 LG그룹에서 LG디스플레이 LG유플러스 LG에너지솔루션 등 유수 계열사 최고경영자(CEO)를 맡아 가는 곳마다 최고 기업으로 만든 권영수 LG에너지솔루션 부회장을 선정했다.
코스맥스 창립자인 이경수 회장은 한국 뷰티산업의 지평을 세계 무대로 넓힌 선구자다. 타협 없이 세계 최고 품질을 추구해 로레알 등 해외 유명 브랜드에 자체 기술로 기획·납품하는 ODM 시장을 개척했다. 이를 계기로 한동안 부진을 면치 못하던 K뷰티가 다시 세계 시장에서 위상을 드높인 것은 우리 모두 잘 알고 있는 바다.
이 회장은 연구개발 및 생산 전문 기업으로 창업한 코스맥스를 2022년 말 기준으로 중국 인도네시아 태국 등 7개국에서 23개 생산설비를 운영하는 글로벌 기업으로 키웠다.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면서 세계 뷰티 시장이 어려움을 겪는 와중에도 2020년부터 2022년까지 매출을 20% 불리는 놀라운 성과를 거둔 점이 돋보였다.
권영수 부회장은 맡는 계열사마다 1등 정신을 불어넣은 ‘개척의 아이콘’이라고 할 만하다. 2007년 대규모 적자를 내던 LG디스플레이 대표를 맡아 취임 첫해 흑자 전환에 성공하며 1등 디스플레이 회사로 변신시켰다. LG유플러스 CEO 재임시절엔 국내 이동통신 시장이 정체한 와중에도 가입자 1300만 명이란 기록을 달성했다.
이런 성과는 LG에너지솔루션에서도 이어졌다. LG에너지솔루션은 권 부회장의 진두지휘 아래 성공적인 기업공개(IPO), 현대자동차 제너럴모터스(GM) 등 유수 자동차 메이커들과의 합작법인 설립
2년 전 LG에너지솔루션은 유난히 긴 여명의 시간을 보냈다. 회사가 배터리를 공급한 현대자동차 제너럴모터스(GM)의 전기차가 잇달아 리콜 사태를 겪으면서 출범 1년도 안 돼 예상 밖의 대규모 재무 부담을 떠안았다. 후발 주자인 중국 업체들이 저가 공세로 치고 올라오면서 세계 1위 자리도 위태로워졌다. 시장의 뜨거운 관심 속에 기업공개(IPO)를 준비 중이던 LG에너지솔루션은 수장을 교체했다. ‘해결사’ 권영수 ㈜LG 부회장을 구원투수로 등판시킨 것이다. 글로벌 배터리 1위 길 닦아6년 만에 배터리산업에 복귀한 권 부회장은 위기를 기회로 반전시켰다. “동트기 전이 가장 어두운 법”이라는 말과 함께 임기를 시작한 그는 2021년 11월 취임 두 달 만에 사상 최대 규모 IPO를 성사시켰다. 이후 매 분기 최대 실적을 갈아치우며 발군의 경영 실력을 입증했다. 재임 기간에 글로벌 판매 상위 완성차업체 10곳 중 9곳을 고객사로 확보하고 스마트팩토리 구현에 힘쓰며 미래 성장 기반을 닦았다.
권 부회장은 명실상부한 LG그룹의 ‘간판 CEO’다. 2007년 적자이던 LG디스플레이를 4년 연속 영업이익 1조원을 내는 LCD(액정표시장치) 패널 점유율 세계 1위 기업으로 탈바꿈시켰다. LG유플러스 최고경영자(CEO) 시절엔 성장 정체에 시달리던 국내 이동통신시장에서도 1300만 가입자 달성 기록을 이끌었다. 그가 LG에너지솔루션 CEO로 깜짝 임명됐을 때 업계에선 “LG그룹이 꺼내 들 수 있는 최고의 카드”라고 평가했다. 품질 문제 해결, 자금 조달 등 굵직한 과제가 산적한 상황에서 권 부회장이란 간판 CEO를 전면에 내세우면 투자자와 고객사, 이해관계자를 우군으로 끌어들이기 용이해진다는 판단에서다.
LG에너지솔루션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