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교토 시내는 오닌의 난(1467~1477)으로 대부분 불탔다. 이후 권력을 잡은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재건했다. 현재 우리가 보는 교토 풍경이 이때 만들어졌다. 교토는 원래 바둑판 구조였다. 한 블록이 정방형에 가까웠다. 문제는 길과 맞닿지 않는, 가운데 공간이 낭비된다는 점이었다. 도요토미는 정사각형 블록을 가로지르는 길을 새로 내도록 했고, 지금의 직사각형 블록이 됐다.<도시를 거닐면 일본사가 보인다>는 ‘가깝고 먼 나라’인 일본의 도시와 역사를 다룬 책이다. 책을 쓴 박진한 인천대 일본지역문화학과 교수는 도쿄, 오사카, 교토 등 일본 도시 13곳을 살핀다. 도시를 아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일본은 실권이 없는 천황 대신 여러 무사 정권이 권력을 잡았기 때문이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가 이동하며 새로운 도시가 등장했다. 오늘날 일본을 대표하는 도시들은 이렇게 만들어졌다고 저자는 말한다.일본인에게 마음의 고향이라고 불리는 아스카, 일본 최초의 도성인 후지와라경, 사슴 공원과 도다이사로 유명한 나라, 천년의 역사를 가진 교토 등이 그런 예다. 요코하마, 기타큐슈, 히로시마는 메이지 유신 이후 근대 국민국가의 수립, 산업화, 제국주의 팽창 그리고 2차 세계대전 패전에 이르는 과정에서 흥망성쇠를 경험한 도시다.책은 일본 도시들의 파란만장한 이야기를 통해 일본이라는 단일한 국가 내러티브로 수렴되지 않는 다양한 모습과 근대화의 양면성을 보여준다.임근호 기자
나무는 죽어서 ‘두 번째 삶’을 산다. <고목 원더랜드>를 쓴 일본 학자 후카사와 유는 고목(枯木)을 “수많은 객실을 갖춘 호텔”에 비유한다. 저자는 자기 집 마당에서 죽은 졸참나무를 사례로 든다.나무가 죽으면 가장 먼저 찾아오는 건 균류와 곰팡이다. 흔히 버섯이라고 하는 곰팡이, 목재부후균은 나무를 분해한다. 나무에 자란 곰팡이를 먹기 위해 톡토기, 쥐며느리, 노래기, 진드기 등 곤충이 찾아온다. 이어 선충과 지렁이, 버섯을 먹는 다람쥐까지 온다. 나무가 분해되면서 습기를 머금으면 이끼 같은 하등식물이 자라기 시작하고, 분해가 더 진행되면 그 위에 대를 이을 나무가 자라난다.저자는 “고목이 사라지면 생물 다양성을 잃게 된다”며 “그중에는 아직 알려지지 않은 것도 많다. 고목에만 서식하는 어떤 균류가 암이나 감염증의 특효약이 될지 모른다”고 말한다.고목은 ‘탄소중립’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고목은 분해되면서 리그닌 등의 성분이 토양에 남아 탄소를 저장한다. 고목은 천천히 분해되기 때문에 고농도 탄소를 오랫동안 저장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저자는 목질 바이오매스에 비판적이다. 목질 바이오매스를 태우면 삼림에 축적된 탄소가 방출되는 만큼 숲속 고목은 가능한 한 그대로 두고 자연스럽게 분해되게 하자고 주장한다.학술적인 내용을 다룬 책이지만 어렵지 않게 읽을 수 있다.동식물 스케치와 현장 관찰 기록이 실려 있어 글만 읽고 떠올리기 어려운 균류와 곰팡이, 곤충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신연수 기자
옛날에 벌어진 일을 평가하기란 쉽다. 어떤 결과로 이어졌는지 이미 알고 있기 때문이다. 그때 왜 이렇게 하지 않았는지 쉽게 비난한다. 하지만 당시 사람들에게 역사는 현재의 일이다. 미래는 불확실하고, 현재 벌어지는 일마저 어떤 맥락에서 이해해야 하는지 파악하기 힘들다.요즘 역사계에선 당시 사람들의 시선에서 역사의 현장을 바라보려는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 김태웅 서울대 역사교육과 교수가 쓴 <그들의 대한제국 1897~1910>도 그런 책이다. 조선이 무너지고 일제의 지배를 받기 전 혼란스러웠던 대한제국 시기를 다섯 사람의 시선에서 생생하게 되살려낸다.서구 문물을 앞장서 수용한 지식인이자 정치인 윤치호, 천주교를 포교하면서 대한제국 권력의 지근거리에서 정국을 지켜본 프랑스인 신부 귀스타브 뮈텔, 당대의 인물과 사건을 예리하게 관찰하면서 자신의 관점에서 역사책을 남긴 지식인 정교와 언론인 황현, 일반 백성 입장에서 당시를 바라본 상공인 지규식이 그 주인공이다. 책은 이들이 남긴 기록을 바탕으로 했다.김 교수는 “독자들이 나를 비롯한 여러 학자의 연구서에 아랑곳하지 않고 타임머신을 타고 대한제국 시대로 가서 그 시대의 인물이 돼 당대를 느끼고 고민할 수 있는 자리를 만들어야 할 필요성을 절감했다”고 책을 쓴 이유를 밝혔다.책은 대한제국의 주요 사건 사건을 발생 순서에 따라 상세하게 다룬다. 1896년 2월 고종이 러시아 공사관으로 피신한 아관파천이 벌어졌을 때 윤치호는 자신의 일기에 “폐하가 적들의 땅에서 벗어난 것은 기쁜 일”이라면서도 “폐하가 개혁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기로 결심하지 않는다면, 이러한 변화를 통해 나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