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도 동산 너머/내 새 연을 날린다. /우리 연이 엇갈리어/어느 편이
나가거나/나가면 "나간다!"소리치며/먼 하늘을 따라가고.. (미당 서정주의
음력설의 영상) 설빔을 차려 입고 고향마을 앞에서 연을 날리던 추억이
남아 있는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추억은 고향을 그리는 마음을 소생시키는
매개체다. 지겨운 교통전쟁을 겪으면서도 굳이 설을 맡으로 고향을 찾아가는
사람도 여기에 있다.

생활간소화의 기치아래 이중과세를 소지하면서 사라져버릴뻔 했던
음력설이 구정연휴가 생긴 뒤 이제 전통적 명절의 명맥을 되찾게 된것
같다.

우리의 옛 세시풍속을 보완. 음력설은 추석과 더불어 가장 으뜸인 명절
이었다. 연륜에 한해를 더한다는 것도 중요하려니와 새해가 시작되는
첫 날이기에 더욱 그러했다.

설은 한자로 신일이라 한다. 조신을 하여 경거망동을 삼가야 한다는
뜻이다. 옛날 사람들은 한해의 운수가 첫날에 달려 있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그 날만은 어떠한 일이 있더라도 새로운 정신과 몸가짐으로 액을
물리치고 복을 가져다 달라는 기원과 함께 심신을 근신했다.

설날 아침에는 일찍 일어나 세수를 한 뒤 미리 마련해 놓은 새옷인
설빔으로 갈아 입는다. 세찬과 세주를 차려놓고 돌아가신 조상들에게
차례를 지낸다. 차례는 모든 자손들이 장손의 집에 모여 지낸다.

차례가 끝나면 어른들에게 새해 첫 인사인 세배를 드린 뒤 차례상에 올린
세찬과 흔떡국으로 아침식사를 마치고 일가친척과 이웃어른들을 찾아가
세배를 한다. 세배를 받는 측에선 어른들에게는 주식,아이들에게는 과자와
돈을 마련했다가 주고 정담을 나눈다.

세배를 할 때나 어른 또는 친구를 길에서 만났을 때는 새해 인사로
덕담을 건넨다. 어른들에게는 "과세 안녕히 하셨습니까" "새해 복 많이
받으시기 바랍니다"라는 말을 하고 손 아래 사람들에게는 "새해에는 아들을
낳으라" "새해에는 소원성치하라"는 등의 말을 건넨다.

또한 조상의 묘를 찾아가 묵은 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이했다는 인사를
올리는 성묘를 한다.

옛부터 내려 온 이러한 정겨운 습속들 가운데 달라진 세태에 밀려
사라져버린 것이 없지 않지만 우리의 마음을 부여잡는 조상의 얼들이다.

해마다 귀성과 휴가의 긴 행렬에 액이 깃들지 않는 새해 맞이가 되길 벌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