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에 앉아서 화상을 보며 대학의 강의를 듣는 시대가 열린다.

4일 원격강의시스템을 개발중인 서울대 공대에 따르면 대학과 기업체를
연결하는 원격강의시스템 구축작업이 순조롭게 진행돼 내년 5월에는 첫
시험운영에 들어갈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해 서울공대는 최근
원격강의시행방안에 대한 연구보고서를 내놓아 관심을 끌고있다.

지난해 해외경제협력기금의 교육차관자금 6천만원을 지원받아 카메라
스크린영상투사기등 원격강의 관련기자재를 구입한 서울공대는 현재 마이크
스피커 영상증폭기등의 장비를 공대자체예산으로 도입중이다.

내년 5월 서울대에 세워질 뉴미디어통신공동연구소내 스튜디오에 이들
장비를 갖춰 연구소 완공과 함께 우선 원격화상회의용 장비를 갖춘 업체를
대상으로 시험운영에 들어간다는 계획이다.

이번에 나온 연구보고서는 원격강의의 실제운영에 앞서 이의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마련키위해 이뤄진 연구 수행결과인 셈이다.

보고서는 서울공대교수 52명과 민간업체및 연구소의 사내교육 또는
연수담당자 4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토대로 하고있다.

이 조사결과에따르면 원격강의가 가장 필요한 대상분야로는 대학(60%)과
업체(37%) 양쪽에서 전기 전자 제어계측 컴퓨터공학을 꼽았다.

강의수준은 대학(58%)과 업체(63%)모두 대학원 석사과정이 적당하다는데
의견을 같이했다. 주당 강의횟수와 시간의 경우 대학(60%)과 업체(58%)모두
1.5시간 강의를 2회 실시하는 것이 가장 적절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보고서는 이같은 설문결과를 기초로 효율적인 원격강의 운영계획을
수립하기위해서는 서울공대에 "원격강의과정 운영위원회"를 구성하는것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또 전국에 지역별로 원격강의를 수강할수있는 원격강의센터를
설립,수강을 희망하는 지역 중소업체의 시설투자비 부담을 덜어주는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지역에 원격강의센터를 설립하고 운영하는데 소요되는 예산및 인력은
원칙적으로 업체에서 부담하되 상공자원부 과기처 교육부등 관련부처의
협의로 재정적인 지원을 해줄수있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돼야할 것으로
지적됐다.

한편 설문대상 교수중 절반이 넘는 56%가 기업체 대상의 원격강의가
이뤄질 경우 강사로 나서겠다고 했고 또 33%는 원격강의시간을 주당
강의시간수에 포함시켜주고 별도의 강사료를 지급하는등의 일정여건만
갖춰지면 참여하겠다고 응답,전체적으로 적극적인 참여의사를 보였다.

업체및 연구소의 경우 역시 전체응답자의 93%가 현재 원격강의시스템을
갖추지는 않았으나 이들중 75%는 시간절약등의 비용절감효과가 크고 다양한
강의가 이뤄질수 있다면 시스템을 도입하겠다고 해 원격강의에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오광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