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행물량외에는 거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수익률은 날로 오르고 있다.
향후 자금의 움직임이 어떻게 나타날지 모르는 상황에서 자금을 단기로만
운용할뿐 만기가 긴 채권에 선뜻 투자하려는 금융기관이 없다. 발행물량도
다 소화되지 못하고 있다.
재무부의 매입지시도 제대로 먹혀들지 않는 실정이다. 25일과 26일 재무부
가 은행권에 회사채매입을 지시했으나 일부 은행이 소량 매수한외에 사자고
나서는 은행이 없었다. 만일에 있을지 모를 자금인출에 대비도 해야하고
지시대로 채권을 사도 수익률은 다시 올라버려 앉은 자리에서 손실을 볼
수는 없다는 것이다.
지난 16일 재무부가 은행권에 회사채를 연13.5%에 사도록 지시,연14.0%
까지 올랐던 회사채수익률(3년만기 은행보증채 기준)을 단번에 떨어뜨려
놓았으나 은행권이 매수를 중단하면서 이틀만에 다시 연13.95%로 되돌아
갔다.
이처럼 채권시장이 불안하게 움직이자 증권업협회가 증권사들의 의견을
모으는 등 증권업계는 묘안을 찾기에 고민하고 있다. 차환발행되는 회사채
는 보유했던 금융기관이 재투자하도록 유도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만기에 상환받는 자금을 놀리지 않을 바에야 회사채에 재투자해도 무리는
없다는 것이다. 이달부터 연말까지 만기가 되는 회사채는 모두 5조2천6백
15억원에 달한다. 월평균 1조가 넘는 회사채가 만기가 되는 셈이다. 만기가
되는 회사채 원리금을 갚기위해 발행되는 회사채마저 소화가 안될 경우
기업은 자금조달에 큰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투신사에 투자메리트가 있는 채권관련 신상품을 허용해 매수기반을
확충해야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어차피 실명화가 되고나면 금리등의
투자메리트가 있는 곳으로 자금이 움직일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신상품개발은 투신사의 능력에 달려있는 문제로 생각처럼 쉽지는 않은
상황이다.
또한 증권사들은 회사채인수자금마련이 쉽도록 자신들의 자금조달여건을
개선해달라고 주문한다. 우선 증권금융의 회전대출한도(6천억원)만큼
증권사에 지원하기로 한 금융실명제 후속대책을 빨리 시행해달라는
요구이다.
자금이 많은 대기업과 개인의 자금을 활용할수 있도록 거액RP
(환매조건부채권)관련규정도 개선돼야할 것으로 지적됐다. 기간과
금액이 91일이상 5천만원이상으로 묶여있는 것을 완화해달라는 주장이다.
현재와 같이 자금을 단기로 운용하고자 하는 세력이 많은 상황에서 기간을
단축하고 일반인 자금흡수를 위해 규모도 줄이면 더많은 자금을 유치할수
있게된다. 증권업협회는 이같은 방안들을 모아 정책당국에 건의할
예정이다.
기업어음 거액RP 단기국공채 CD등에 단기투자,유동성과 금리면에서
메리트가 클것으로 예상되는 단기금융상품(MMA)에 숨어있는 자금을 끌어
내자는 논의도 있다. 그러나 이는 금융기관간 형평과 업무영역문제를
일으킬수 있기 때문에 증권업협회는 고려대상에서 제외해놓고 있다.
채권전문가들은 향후 자금전망이 불투명한 상태에서 이같은 방안이
채권시장을 단숨에 안정시킬수 있을 것으로는 보지 않는다. 다만 자금의
움직임이 나타나기 시작하는 10월달 이전까지는 어떠한 형태로든"땜질"이
필요하다는 시각이다. 이들은 자금흐름이 가시화된 뒤에 본격적인 채권시장
안정대책이 필요하고 효과도 기대할수 있다고 말한다.
<김성택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