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통신관련 업체들 반이상 정부지원서 소외...전파진흥협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내 이동통신 관련제조업체들의 절반이상이 정부정책의 혜택이나
지원대상에서 소외돼 핵심부품개발과 품질향상에 애로를 겪고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따라서 통신기기시장의 대외개방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연구개발비지원및 핵심부품에 대한 기술지원이 시급하다고
촉구했다.
이같은 사실은 한국전파진흥협회가 국내 이동통신 관련기기제조업체및
부품생산업체 1백개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해 1일 발표한 실태조사결과
밝혀졌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조사대상 1백개업체중 52개업체(52%)가
정부지원정책의 혜택이나 지원을 전혀 받은 적이 없으며 36개업체가
조금받았다고 응답한 반면 많은 지원을 받았다는 업체는 7개업체에 불과해
이들에 대한 정부정책이 소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통 관련제조업체들은 또 기술.연구개발비의 투자는 27개업체가
총매출액의 2~3%,21개업체가 4~5%,18개업체가 1%이내를 투자한다고
응답하고 28개업체는 기술.연구개발부서조차 없는 것으로 밝혀져 이분야
투자열의가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개발에 있어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는 27%가 판매의 불확실성및
수요예측의 어려움을,24%가 기술인력확보의 어려움을 꼽았으며 14%는
예산확보난과 무분별한 외국제품의 수입때문이라고 응답했다.
업체들은 따라서 효과적인 이통 관련기기의 국내개발을 위해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할 과제로 총 응답자의 40%가 핵심부품의 개발을 꼽았으며
19개업체가 연구개발의 기반조성을,14개업체가 예산확보를 제시했다.
제조업체들은 특히 기기및 부품수입은 전체의 40%정도를 일본에서
수입하는데비해 수출하는 비중은 전체의 3%에 불과하다고 답해 이동통신
관련기기의 대일 무역불균형이 심한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체들은 앞으로 통신기기시장의 개방에 따른 대응전략에 대해 63%가
신제품개발을 통해 극복하겠다는 적극적인 자세를 보였으며 15%가
영업망확충으로,9%가 외국회사와의 합작및 기술제휴로 대처하겠다고
응답했다.
이들은 정부의 정책지원방법에 대해 37%가 개발비지원을,27%가
핵심부품기술지원을,14%가 제품의 규격화및 표준화등 지원정책을
강화해나가야 할것으로 지적했다.
지원대상에서 소외돼 핵심부품개발과 품질향상에 애로를 겪고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따라서 통신기기시장의 대외개방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연구개발비지원및 핵심부품에 대한 기술지원이 시급하다고
촉구했다.
이같은 사실은 한국전파진흥협회가 국내 이동통신 관련기기제조업체및
부품생산업체 1백개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해 1일 발표한 실태조사결과
밝혀졌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조사대상 1백개업체중 52개업체(52%)가
정부지원정책의 혜택이나 지원을 전혀 받은 적이 없으며 36개업체가
조금받았다고 응답한 반면 많은 지원을 받았다는 업체는 7개업체에 불과해
이들에 대한 정부정책이 소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통 관련제조업체들은 또 기술.연구개발비의 투자는 27개업체가
총매출액의 2~3%,21개업체가 4~5%,18개업체가 1%이내를 투자한다고
응답하고 28개업체는 기술.연구개발부서조차 없는 것으로 밝혀져 이분야
투자열의가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개발에 있어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는 27%가 판매의 불확실성및
수요예측의 어려움을,24%가 기술인력확보의 어려움을 꼽았으며 14%는
예산확보난과 무분별한 외국제품의 수입때문이라고 응답했다.
업체들은 따라서 효과적인 이통 관련기기의 국내개발을 위해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할 과제로 총 응답자의 40%가 핵심부품의 개발을 꼽았으며
19개업체가 연구개발의 기반조성을,14개업체가 예산확보를 제시했다.
제조업체들은 특히 기기및 부품수입은 전체의 40%정도를 일본에서
수입하는데비해 수출하는 비중은 전체의 3%에 불과하다고 답해 이동통신
관련기기의 대일 무역불균형이 심한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체들은 앞으로 통신기기시장의 개방에 따른 대응전략에 대해 63%가
신제품개발을 통해 극복하겠다는 적극적인 자세를 보였으며 15%가
영업망확충으로,9%가 외국회사와의 합작및 기술제휴로 대처하겠다고
응답했다.
이들은 정부의 정책지원방법에 대해 37%가 개발비지원을,27%가
핵심부품기술지원을,14%가 제품의 규격화및 표준화등 지원정책을
강화해나가야 할것으로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