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나스닥종합지수가 사상 처음으로 2만선 고지에 올랐다.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시장 예상에 부합하자 미 중앙은행(Fed)의 이달 금리 인하를 기정사실화하며 빅테크 랠리가 펼쳐진 영향이다.이날 뉴욕증권거래소에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전거래일 보다 347.65포인트(1.77%) 상승한 2만34.89에 장을 마감했다. 나스닥지수가 2만선을 돌파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대형주 중심의 S&P500지수는 49.28포인트(0.82%) 오른 6084.19를, 블루칩 중심의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99.27포인트(0.22%) 내린 4만4148.56에 거래를 마쳤다.종목별로 대형 기술주가 일제히 상승했다. 테슬라는 전거래일 대비 5.93% 급등한 주당 424.77달러에 마감해 사상 최고치를 돌파했다. 기존 최고가였던 409.97달러(2021년 11월4일 종가)를 3년1개월 만에 갈아치웠다.이날 블룸버그는 테슬라 주가 상승과 일론 머스크가 세운 또 다른 회사인 우주기업 스페이스X의 기업가치 상승으로 머스크의 순자산이 4392억달러(약 628조원)에 이른다고 추산했다.인공지능(AI) 대장주인 엔비디아는 3.14% 뛰었다. 구글 모회사 알파벳은 5.46% 올랐고 아마존과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는 각각 2.32%, 2.16%씩 상승했다. 마이크로소프트(MS)는 1.28% 올랐다.빅테크 랠리의 동력은 시장 예상에 부합한 인플레이션 지표, 이로 인한 이달 기준금리 인하 전망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날 미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달 CPI는 전월 대비 0.3%, 전년 동기 대비로는 2.7% 올랐다. 지난 10월 상승률(각각 2.6%, 0.2%) 보다는 0.1%포인트씩 올랐으나 모두 시장 예상에 부합했다.변동성이 큰 에너지·식료품을 제외한 근원 CPI는 전월 대비 0.3%, 전년 대비 3.3%씩 올랐다. 10
<12월 11일 수요일>미국의 소비자물가(CPI)는 11월에도 여전히 끈적끈적했지만 큰 그림에선 예상에 부합했고 주거비 둔화 등 긍정적 요인도 있었습니다. 다음주 미 중앙은행(Fed)이 금리를 내릴 것이란 예상은 거의 100%에 가까워졌습니다. 투자심리를 누르던 요인이 사라지자 매수세가 살아났습니다. 상승세는 빅테크에 의해 주도됐습니다. 테슬라 아마존 애플 등 매그니피선트 7(Mag 7) 주식 중 6개가 신고가 기록을 세웠고, 나스닥은 사상 처음 20000을 돌파했습니다. 당분간 랠리를 막을 건 없는 것 같습니다. 나일스 인베스트먼트의 댄 나일스 설립자는 "1월까지의 긍정적 계절성, FOMO(추격 매수), 쉬운 돈, 친성장 정책으로 인해 파티는 계속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내일 아침엔 도널드 트럼프 당선인이 뉴욕증권거래소에서 개장 벨을 울립니다. 11일 아침 8시 30분, 11월 CPI가 발표됐는데요. 예상에 정확히 부합했습니다. 헤드라인 CPI는 전월 대비 0.3%, 전년 대비 2.7% 올랐는데요. 이는 예상과 같고요. 지난 10월(0.2%, 2.6%)에 비해선 반등했습니다. 2.7%는 지난 7월 이후 가장 높은 수치이지요. 음식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CPI는 전월 대비 0.3%, 전년 대비 3.3% 상승했는데요. 역시 예상에 부합했고, 10월과도 같았습니다. 근원 물가는 전월 대비로 넉 달 연속 0.3% 상승했는데요. 본질적으로 디스인플레이션이 최근 몇 달 동안 정체되고 있다는 얘기입니다. 11월 수치를 소수점 둘째 자리까지 따지면 0.31% 오른 것으로 나왔는데요. 10월(0.28%)이나 월가 예상(0.28%)보다는 높은 것입니다. 하지만 세부 내용은 그리 나쁘지 않았습니다. 음식 물가가 0.4% 올라 지난 10월 0.2%보다 상승률이 높아졌고요. 에너
[프리미엄 콘텐츠 집코노미 - 집 100세 시대] “내년이면 65세 이상 고령자 인구가 1000만명을 넘어섭니다. 국토부가 내년 공급할 총 25만가구의 공공주택 중 3000가구를 고령자를 위한 복지주택으로 내놓기로 했지만 이것으론 부족해요. 시니어 하우징을 늘리기 위한 방법은 단순합니다. 주택을 공급할 땅이 있으면 되죠. 그러기 위해선 공급 부지에 대한 규제를 완화해 민간 섹터에서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해야 합니다.”지난 6일 전용기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주최로 열린 시니어 시설 관련 정책토론회에서 최민아 LH 토지주택연구원 국토공간연구실 센터장이 한 말이다. 최 센터장은 “노인복지주택은 노유자시설에 지은 준주택이다 보니 주거 인가를 받아 주택시설로 공급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며 “노유자시설 용도로만 허용되는 땅을 찾아 공급해야 해 사실상 ‘집이 아닌 집’을 지어야 하는 제도적 한계가 있다 보니 시니어 주택 활성화가 어려운 것”이라고 지적했다.이어 “공공이 새로운 건축법이나 주택법을 통해 메디컬 케어가 좀 더 강화된 유형을 포괄하는 노인의료주택 등 새로운 주택 형태로 용도나 주거 유형을 규정해 준다면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기금 지원이 확대될 수 있어 민간의 사업 시행 여건이 좋아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이날 토론회는 '2025 초고령 사회 진입, 시니어 주거시설의 현재, 무엇이 문제인가'라는 주제로 진행됐다. 토론회에는 시니어 케어 기업 대표로 참석한 박재병 케어닥 대표를 비롯해 박동현 전 전국노인주거복지시설협회 회장, 최희정 건국대 부동산대학원 겸임교수, 곽은경 컨슈머워치 사무총장, 허경민 국토교통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