뒷골목에서 빈정대듯 부름직한 무슨 속된 유행가의 한 구절만 같아
떨떠름하다.

여태까지 서울시내 쓰레기를 묵묵히 받아 삼켜오던 난지도 매립장이 그
이상 감당하지 못하고 그저께 10월말로 입을 다물듯 폐쇄된 것이다.

그동안 준비해 오던 김포 수도권매립지와 11월1일 임무교대하게 돼
있었다. 그러던 것이 지역주민들과의 마찰로 진통을 겪고 있으니
"서울쓰레기 갈곳이 없다"는 유행가 토막이 나온 것이다.

바로 오늘 아침 현지 김포군 검단면에서 건설부 환경처등 관련부처는
지역주민들을 상대로 직접 피해보상을 위한 설명회를 갖는등 백방의 노력을
하고 있으니 실마리는 풀릴 것이다. 하루에 8. 5t트럭으로 3,000대분이
넘는 3만2,000t의 쓰레기가 며칠만 서울시내에 쌓인다면 "쓰레기 수도"가
될판이니 설마하니 변통이야 없을까마는..

난지도-.

글자 그대로 난초와 연꽃 버섯을 상징하던 이 섬은 15년전만 해도
꽃섬으로 불렸다.

갈대숲이 우거지고 철새들이 즐겨 찾아 서울근교의 데이트코스로
꼽혀왔다. 그래서 멜로물 영화촬영 장소로도 정평이 나 있었다. 그러던
것이 15년전인 78년3월 하루아침에 꽃섬이 쓰레기섬으로 냄새를 풍기기
시작했던 것이다.

그동안 난지도에 버려진 쓰레기가 어림잡아도 1억500만t은 될거란다.
그런 숫자로는 실감이 안난다. 8. 5t 청소차로 따지면 1,235만대쯤
된다는것. 이 청소차를 일렬로 세우면 서울과 부산을 무려 240몇회
왕복할수 있을거라니 그저 어안이 벙벙하다. 처음 해발8m이던 이섬이
지금은 80m높이의 구능으로 변했으니 가히 알만하다.

자신들이 버렸다는건 생각도 않고 코부터 막고 외면했지만 이제 그 임무를
끝내고 쓰디쓴 15년애사를 깨물면서 옛 "꽃섬"으로 되돌아 가리라.

내다버린 희한한 쓰레기만큼이나 숱한 애환도 파묻혀 있다. 값비싼
금붙이나 가보를 쓰레기통에 버리고는 뒤늦게 여기로 찾아와 발구르던
희멀건 사람들도 있었는가 하면 이곳에서 쓸만한 물건을 골라 생계를 잇던
사람들도 있었다.

서울시는 내년부터 각종 나무를 심어 환경생태공원등을 만들고 꽃박람회
예술전시장으로 활용한단다. 15년만에 다시금 꿈의 난지도로 되살아날
그때를 그려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