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는 산업기술인력의 양성문제가 그 어느해보다 활발히 논의됐다.
제조업경쟁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기술력을 높일 산업기술인력의
확대공급이 절실하다는 인식아래 상공부 교육부 과기처등의 정부부처및
정치권 산업체 학계등이 그 방법을 모색했다.
봄부터 시작된 이 논의는 이공계대학의 증원등 몇가지 가시적인 결과를
이끌어내기도 했으나 무성하게 진행된 논의에 걸맞는 알맹이가 적었다는게
관계전문가들의 한결같은 반응이다.
가장 큰 결실은 이공계대학졸업생을 늘린것이다. 기존 이공계대학의
정원을 해마다 4천명씩 4년간 1만6천명을 늘리고 한국과학기술원의 증원과
광주분원의 설립등이 결정됐다. 지난 10년가까이 동결돼온 수도권소재
대학도 증원대상에 포함시켰다.
기업의 인력확보를 뒷받침하기 위해 병역특례대상자도 현재 1천3백명선
에서 2천2백명정도로 늘렸다. 고급과학기술인력을 조기에 양성하기 위해
도입한 대학원 박사과정 재학생에 대한 특례도 2배이상 많은 6백명으로
확대했다.
양적공급확대에서 이같은 가시적인 결론이 나왔지만 질적향상을 위한
노력은 부족했다. 지금의 산업기술인력문제는 이공계대학 졸업자의
부족에서가 아니라 "쓸만한 사람이 모자란다"는 질적 문제에서 비롯됐다는
점이 간과됐다는 지적이 많았다.
엎치락 뒤치락을 거듭해온 산업기술대학문제도 해를 넘기는 지금까지
불투명하다. 상공부가 실무에 중심을 둔 새 공학교육제도의 도입을
주장한데 대해 교육부가 교육체계의 혼란등을,대학과 전문대학은 자신들의
위축을 이유로 반대하고 나섰다.
정부부처간,정부와 민자당간,정부와 대학및 업계등 이해당사자의 의견이
엇갈리면서 하루에도 추진과 보류가 오락가락했다. 며칠남지 않은
국회회기내에 또 어떻게 바뀔지 점치기 어려운 상황이다.
지금 우리업계가 겪고 있는 기술인력의 부족은 기본적으로 교육기관의
책임이다. 대학이 질좋은 기술인력을 충분히 공급해야 한다. 그 방법은
"대학의 특성화와 기술인력의 전문화"라는게 많은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올해 풀지못하고 새해로 넘긴 과제이다.
박규태 연세대공대학장은 "산업기술인력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공급량의
확대와 함께 질적향상에 치중하면서 각 대학이 그 학교의 특성에 맞는
교육방향을 정하고 전문화해나가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새해부터 전문화가
정착돼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