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국제무대에서 점차 발언권을 높여가고 있다. 세계 제2의
경제대국이면서도 그동안 국제정치계에서 "수세"일변도였던 일본이
제목소리 찾기에 주력하고 있다.
일부 회담 관측통들은 이런 관점에서 런던회담이 일본의 국제적 발언권
강화의 한 전기가 될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일본은 지금까지의 정상회담을 통해 수세를 면치못해온게 사실이다.
엄청난 대서방 무역흑자에 대한 궁색한 변명,경제대국 답지 않게 국제사회
기여도가 낮다는 비판,자기중심적 사고방식과 대외정책에 대한 일본
정계내부의 이견등에 휩싸여 "대국"다운 구실을 못해왔다.
런던회담에 임하는 일본의 태도는 그러나 상당히 달라진 것으로 보인다.
수출보다 수입에 신경을 쓰고 있다고 적극 홍보를 펴는가 하면 독자적
군축안을 제시하고 있다.
경제대국답게 GATT(관세무역일반협정)의 우루과이 라운드 협상 타결에도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물론 미국과 사전 조정을 거친 것이 사실이지만
일본의 독자적 태도는 분명 종전의 소극적 자세를 벗어났다.
16일 발표된 정치와 군축선언 전반에도 일본의 이같은 "입김"이 여러군데
드러나고 있다. 북방도서분쟁에 대한 소련의 책임을 적시한 것이 대표적
예인데 일본은 소련이 글라스노스트(개방)를 전세계적으로,특히
아시아지역으로 확대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소련의 개방정책이
아직 아시아에 미치지 않았다고 주장함으로써 북방도서문제에 대한 소련의
책임을 거론하고 아울러 소련 지원에 소극적인 자신의 입장을 변명하고
있다.
일본은 또 걸프전과 관련,걸프지역에 무기를 판 수혜국가들의 책임을
거론하면서 다른 선진국들의 이중정책을 비판,상대적으로 비핵 3원칙을
고수해온 일본의 "평화주의"노선을 부각시키고 있다.
중동지역 군축에 대한 일본의 입장은 자신들이 걸프전으로 인해 국민
1인당 100달러씩의 추가 부담을 감수한만큼 개입할 명분이 충분하다는
것이다.
일본은 이와 함께 자국이 G7에 참여한 유일한 아시아 국가임을 들어
아시아의 대변자역을 자임하고 있다. 한반도상황과 중국과의 관계등을
설명하는가 하면 다른 서방국가들에 대해 소련이나 동구에만 신경쓸게
아니라 몽골과 방글라데시아의 민주화에도 관심을 가질 것을 촉구하고
나섰다.
런던선언에는 일본의 이같은 주장이 상당부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일본은 아무튼 런던회담을 계기로 자신들이 새로운 국제질서 형성에 있어
더이상 침묵하는 참여자로 남지는 않을 것임을 명백히 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