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80년부터 실시해오던 "국가별 진출지정제도"를 3월부터 전면 폐지키로
했다.
또 전후복구사업은 주도권을 쥐고있는 미공병단(COE)및 미건설업계와
협의, 쿠웨이트와 사우디에 중점을 두기로 했다.
27일 건설부및 해외건설업계에 따르면 걸프전쟁이 조만간 완료된후
전후복구사업이 본격화될것에 대비, 해외 건설업면허를 가진 모든 업체에
참여기회를 개방키로 했다.
해외건설진출지정제도는 과당경쟁을 막기위해 지난 80년에 도입 실시
해왔는데 88년 기지정업체와 상충되지 않는 단독초청의 경우에 한해
진출을 허용하는등 일부 완화했었다.
이제도의 폐지로 이라크의 경우 현대 삼성 동아 극동 대림, 쿠웨이트는
대림 쌍용 풍림 현대 신화등으로 제한됐던 진출권이 해제된다.
건설부는 또 전후복구사업은 해외자산으로 자금사정이 좋은 쿠웨이트와
석유생산량을 늘려 재정이 호전되고 있는 사우디에 역점을 두어 참여를
유도키로 했다.
사우디는 걸프전쟁기간중 오히려 재정상태가 호전됨에 따라 그동안
미뤄왔던 공사 대금및 유보금을 지급하는등 공사대금회수 여건이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따라 지난연말 진흥기업이 킹 아플 아지즈육군사관학교등 4개현장
미수금 5천5백28만달러와 유보금 9백49만달러등 6천5백만 달러를
수령했으며 한양도 이맘대학공사 미수금 2천5백30만달러를 올연초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건설부는 그러나 이라크는 이란과의 8년전쟁에 이은 걸프전쟁으로
재정파탄상태를 빚고있어 중동개발은행(MBRD)이 설립돼 복구계획이
세워질때까지 참여를 자제토록할 방침이다.
한편 해외건설업체들은 결프전쟁을 주도한 미/영/불등 선진국업체가
복구공사를 대부분 맡을것이나 엔지니어링과 기자재공급에 주력할 것으로
보고 시공경험과 현지장비보유의 강점을 살려 시공 부문참여를 추진하고
있다.
이에따라 업체들은 경쟁상대인 터키등의 업체들을 견제하는 한편 미공병
단및 백텔 파슨 MW겔로그 브라운 & 루트등 대형업체와의 협력및 하청관계
강화를 모색하고 있고있다.
현대건설의 경우 미/영및 중동현지지사를 활용, 정보 수집과 제휴를
통해 도로 교량 공항 항만등의 기반시설 공사 수주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대림산업 신화건설등은 플랜트부문의 강점을 살려 석유생산 정제
저유시설및 석유화학관련산업복구사업 참여를 위해 뛰고있다.
대우 삼성종건 한양 쌍용건설등은 주택 토목공사에 주력할 계획이며
코오롱전기 등은 통신시설복구사업에 관심을 갖고 참여방안을 모색
하고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