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유엔이 선포한 세계인구의 날...현재 53억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1일은 유엔인구활동기금(UNFPA)이 선포한 세계인구의 날.
세계인구의 날은 지난 87년 7월11일 세계인구가 50억을 넘어선 날을
계기로 각국 정부가 앞으로 태어날 후손들에게 보다 나은 삶을 보장토록
하자는 취지아래 인구문제에 공동의 노력을 경주하기 위해 선포된 날이다.
현재 세계인구는 53억으로 세계인구의 날이 선포된 지난 87년이후 매년
1억명씩이 늘어난 셈이다.
** 인구 50억 돌파를 기념, 87년 제정 **
이같은 인구 증가속도는 매초당 3명,매일 25만명씩 늘어난 꼴이 된다.
유엔은 이같은 속도로 인구가 증가할 경우 서기 2천년에는 63억이 될
것이며 서기 2천20년에서 2천30년경에는 무려 1백20억명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증가되는 인구의 94%는 이러한 인구증가를 감당할 준비가 가장 안
돼있는개발도상국에서 차지하고 있어 빈곤의 악순환이 가속화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더구나 도시지역의 인구증가율은 전체 인구증가율의 두배가량 높으며
인구증가율이 높은 전세계 20개 대도시중 17개도시가 개발도상국에
속해있다.
우리나라도 지난 61년 경제개발계획의 일환으로 인구증가율 억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최근들어 인구정책이 소기의 계획 목표를
달성못하는등 방심해서는 안될국면에 처해 있다.
** 세계인구 초당 3명, 1일 25만명씩 증가 **
우리나라 인구는 7월1일 현재 4천2백79만명으로 연간 41만3천여명이
증가,방글라데시,대만에 이어 세계 3위의 인구밀도(1㎢당 4백31명)를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는 76.19초 1명,1시간 47명,하루 1천1백34명씩 증가,매해
천안시 만한인구가 늘어나고 있다.
우리나라는 지난 86년 인구증가율이 1%이하(0.97%)로 떨어졌으며 오는
2천23년까지 5천20만명을 넘지 않도록 각종 인구정책을 펴 나가고 있다.
그러나 이같은 정부노력에도 불구하고 최근에는 인구증가 억제에
절대적인 기여를 하고 있는 가족계획 사업예산이 대폭 삭제되는등
인구문제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다소 느슨해 진 분위기를 보이고 있다.
국회는 89년도예산을 심의하는 과정에서 정부가 요구한 이 부분
예산액중 전년도 대비 50억원을 삭감했고 90년도 예산액중에서도
30억원이나 삭감,상대적으로 일선 시.군.구의 정부지원 피임 보급물량이
급격히 주는등 인구정책이 제대로 시행되지 못하고 있다.
우리나라와 같이 부존자원이 빈약하고 좁은 국토에 인구밀도가
4백31명(세계 3위)이나 돼 매년 40여만명의 절대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것은 나라 장래에 대한 심각한 우려가 아닐수 없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유엔도 1990년이후 10년이 인구문제로 인한 인류의 가장 중대한 고비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세계 79개국대표들은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21세기를
대비한국제인구대회」를 열고「후손을 위한 보다 나은 삶-암스테르담
선언」을
결의,앞으로 10년간 인구정책의 목표를 구체적으로 설정하기에 이르렀다.
이 선언은 우선 빈곤과 불행을 극복하기 위한 공동의 노력을 위해 모든
사회.경제적 요인을 인구정책및 전반적인 개발전략 수립에 집중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 가족계획 차질등으로 방심못할 처지 **
또▲부인 1인당 평균 자녀수의 감소▲10대 또는 조기결혼의
감소▲가임여성의피임실천률 증대▲영아및 모성사망률의 감소▲평균수명
연장등의 구체적인 실천전략을제시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지난 86년을 고비로 최고 연간3%에 이르렀던
인구증가율이 1%이하로 떨어지는등 그간 정부의 강력한 인구정책으로
외형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으나 앞으로의 인구정책은 양적 억제보다
질적향상에 중점을 둘 때라는 지적이다.
인구의 질적향상을 위해선 건강,교육,인구구조(가족구성)에 이르는
다원적인 자질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는 게 관계자들의 주장이다.
이를 위해선 우선 영아및 모성사망률을 감소시켜야 한다는 것.
우리나라 영아 사망률은 1천명당 11.0명으로 이웃 일본의 5.2명보다
2배나 되는등 후진성을 면치 못하고 있으며 가임여성의 52%가 인공임신
중절경험이 있으나 이중 74%가 피임방법을 잘못 사용,원치않는 임신을
하는등 올바른 피임방법의 홍보 및보급이 제대로 안돼 있는 실정이다.
이에따라 우리도 연간 1만명이상에 달하는 미혼모가 발생하고 있는
현실을 감안, 청소년에 대한 성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뤄지도록 보다
적극적인 정책적 배려가 있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세계인구의 날은 지난 87년 7월11일 세계인구가 50억을 넘어선 날을
계기로 각국 정부가 앞으로 태어날 후손들에게 보다 나은 삶을 보장토록
하자는 취지아래 인구문제에 공동의 노력을 경주하기 위해 선포된 날이다.
현재 세계인구는 53억으로 세계인구의 날이 선포된 지난 87년이후 매년
1억명씩이 늘어난 셈이다.
** 인구 50억 돌파를 기념, 87년 제정 **
이같은 인구 증가속도는 매초당 3명,매일 25만명씩 늘어난 꼴이 된다.
유엔은 이같은 속도로 인구가 증가할 경우 서기 2천년에는 63억이 될
것이며 서기 2천20년에서 2천30년경에는 무려 1백20억명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증가되는 인구의 94%는 이러한 인구증가를 감당할 준비가 가장 안
돼있는개발도상국에서 차지하고 있어 빈곤의 악순환이 가속화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더구나 도시지역의 인구증가율은 전체 인구증가율의 두배가량 높으며
인구증가율이 높은 전세계 20개 대도시중 17개도시가 개발도상국에
속해있다.
우리나라도 지난 61년 경제개발계획의 일환으로 인구증가율 억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최근들어 인구정책이 소기의 계획 목표를
달성못하는등 방심해서는 안될국면에 처해 있다.
** 세계인구 초당 3명, 1일 25만명씩 증가 **
우리나라 인구는 7월1일 현재 4천2백79만명으로 연간 41만3천여명이
증가,방글라데시,대만에 이어 세계 3위의 인구밀도(1㎢당 4백31명)를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는 76.19초 1명,1시간 47명,하루 1천1백34명씩 증가,매해
천안시 만한인구가 늘어나고 있다.
우리나라는 지난 86년 인구증가율이 1%이하(0.97%)로 떨어졌으며 오는
2천23년까지 5천20만명을 넘지 않도록 각종 인구정책을 펴 나가고 있다.
그러나 이같은 정부노력에도 불구하고 최근에는 인구증가 억제에
절대적인 기여를 하고 있는 가족계획 사업예산이 대폭 삭제되는등
인구문제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다소 느슨해 진 분위기를 보이고 있다.
국회는 89년도예산을 심의하는 과정에서 정부가 요구한 이 부분
예산액중 전년도 대비 50억원을 삭감했고 90년도 예산액중에서도
30억원이나 삭감,상대적으로 일선 시.군.구의 정부지원 피임 보급물량이
급격히 주는등 인구정책이 제대로 시행되지 못하고 있다.
우리나라와 같이 부존자원이 빈약하고 좁은 국토에 인구밀도가
4백31명(세계 3위)이나 돼 매년 40여만명의 절대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것은 나라 장래에 대한 심각한 우려가 아닐수 없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유엔도 1990년이후 10년이 인구문제로 인한 인류의 가장 중대한 고비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세계 79개국대표들은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21세기를
대비한국제인구대회」를 열고「후손을 위한 보다 나은 삶-암스테르담
선언」을
결의,앞으로 10년간 인구정책의 목표를 구체적으로 설정하기에 이르렀다.
이 선언은 우선 빈곤과 불행을 극복하기 위한 공동의 노력을 위해 모든
사회.경제적 요인을 인구정책및 전반적인 개발전략 수립에 집중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 가족계획 차질등으로 방심못할 처지 **
또▲부인 1인당 평균 자녀수의 감소▲10대 또는 조기결혼의
감소▲가임여성의피임실천률 증대▲영아및 모성사망률의 감소▲평균수명
연장등의 구체적인 실천전략을제시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지난 86년을 고비로 최고 연간3%에 이르렀던
인구증가율이 1%이하로 떨어지는등 그간 정부의 강력한 인구정책으로
외형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으나 앞으로의 인구정책은 양적 억제보다
질적향상에 중점을 둘 때라는 지적이다.
인구의 질적향상을 위해선 건강,교육,인구구조(가족구성)에 이르는
다원적인 자질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는 게 관계자들의 주장이다.
이를 위해선 우선 영아및 모성사망률을 감소시켜야 한다는 것.
우리나라 영아 사망률은 1천명당 11.0명으로 이웃 일본의 5.2명보다
2배나 되는등 후진성을 면치 못하고 있으며 가임여성의 52%가 인공임신
중절경험이 있으나 이중 74%가 피임방법을 잘못 사용,원치않는 임신을
하는등 올바른 피임방법의 홍보 및보급이 제대로 안돼 있는 실정이다.
이에따라 우리도 연간 1만명이상에 달하는 미혼모가 발생하고 있는
현실을 감안, 청소년에 대한 성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뤄지도록 보다
적극적인 정책적 배려가 있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