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급압박 줄어 장세 다소 개선 ***
*** 경제구조 대응, 방어적 자세로 ***
석달에 걸친 무기력 장세의 여파로 대세를 뜻하는 150일이동평균선마저
하향커브를 그리고 있고 급기야 종합주가지수도 연중 최저치를 기록하기에
이르렀다.
그어느때보다도 대세비관적인 먹구름이 증시에 짙게 깔려 있는 것 같다.
과연 우리증시가 대세하강국면으로 들어섰느냐에 대한 해답은 시간이
해결해줄 문제이기는 하다.
그러나 우리경제의 성장잠재력과 자본자유화란 대명제를 놓고 볼때 그런
극단적인 비관론은 기우에 불과할 것이다.
다만 우리증시가 자생력으로 상승사이클로 복귀하려면 지금의 증시주변
여건아래서는 다소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일 따름이다.
*** 증시 7월에 완전 해소된다고 볼수 없다 ***
이러한 맥락에서 볼때 7월장세도 변함없는 조정국면의 연장선이 될것
같다.
무엇보다도 지금의 증시를 무기력 장세로 몰고온 요인들이 바로 7월에
이르러 완전히 해소된다고 볼수는 없기때문이다.
무엇보다도 관심의 초점은 경기전망이다.
한번 수그러든 경기가 고개를 들려면 다소 시일이 걸리게 마련이다.
무역수지흑자 격감, 물가오름세가속화등의 요인이 경기회복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
결국 "경제의 성장없이는 주가도 상승할수 없다"는 구조적 비관론이 7월
증시를 여전히 괴롭힐것 같고 이로 인한 투자마인드의 위축은 변함없을것
같다.
대기업에 대한 보유유가증권처분지시, 상호출자규제로 인한 공급물량압박은
상반기에 비해 다소 해소될 전망이다.
그러나 대기업에 대한 재테크규제가 이들의 신규 주식수요를 여전히 묶어
놓고 있어 그만큼 주가상승의 플러스 요인이 상실될 것이다.
* 총통화증가율 6월말현재 19%에 달해..통화환수 강도 다시 죄어질 전망 *
증시주변자금도 여전히 빠듯한 상태가 지속될것 같다.
총통화(M2)증가율이 6월말 현재 거의 19%에 달하고 있어 통화환수의 강도가
다시 죄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물론 최근의 경기부진양상으로 보아서는 상반기만큼 무리한 통화긴축이
따르지 않을 것이며 투신사와 증권사에 대한 통안증권 배정보류가 계속될
것이다.
하지만 67조원의 싯가총액에 달하는 주식시장의 방향타를 돌려놓을 만큼
증시주변자금이 넉넉해질것 같지는 않다.
*** 종합주가지수 상승 매수의욕 불러 일으키는 시각적 효과 기대 어렵다 ***
금융주의 물량과잉도 현장세가 침체의 늪에서 헤어나오지 못하는 이유중의
하나다.
금융주 전체에 걸친 유/무상증자및 주식배당 신주는 상장되자마자 매도
물량으로 쉽게 돌변할 가능성이 있다.
이들 매도물량을 무리없이 받아주면서 손바뀜이 이루어져야만 금융주는
탄력을 되찾을수 있을 것이다.
전체싯가총액의 36%에 달하는 금융주가 물량과잉으로 정체된다면 전체
시장 역시 정체될수밖에 없다.
결국 종합주가지수의 상승이 일반투자자로 하여금 매수의욕을 불러일으키는
시각적 효과도 당분간 기대키 어렵다.
8월10일 상장예정인 한전주의 경우도 7월하순으로 접어들면 현실적인 물량
압박우려감을 가져올 것이다.
5개 시중은행의 자본금 합계와 거의 맞먹는 3조원의 자본금을 지닌
한전주의 상장은 상당한 물량압박 요인이며 이에따른 획기적인 수요진작
조치가 없다면 전체장세는 지난해 포철주의 상장때와 마찬가지로 비슷한
전철을 밟을 것이다.
이러한 요인들을 일거에 해소시켜줄 대대적인 부양조치나
획기적인 수요진작조치가 뒤따르지 않는다면 7월장세 역시 큰 활황을
기대할수 없다.
그러나 따지고 보면 7월장세를 변함없이 조정국면으로 몰고갈 것으로
예상되는 요인들이 새로이 추가된 악재는 아니다.
앞에서 나열한 요인들은 이미 오래전부터 주가하락에 충분히 반영된
부분이기때문에 6월장세보다 더 악화되는 모습이 7월에 나타날 것 같지는
않다.
*** 증시 내외적 요인들 점차 개선될 여지 많아 ***
증시 내외적 요인들이 현재 최악의 상태에 있는 바 그런 요인들이 더
악화되는것 보다는 점차 개선될 여지가 더 많은 것이 사실이다.
추후 전개될 개선의 조짐속에 증시도 점차 기력을 되찾을 것으로
예상된다.
역시 7월장세에서 가장 낙관적인 요인은 직접적인 증시자금수요가
이전에 비해 크게 줄어들 것이라는 점이다.
7월의 공급규모는 유상증자 7,035억원, 기업공개 1,800억원 수준으로
총 8,835억원원 가량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6월중 유상증자, 국민주/일반기업공개에 의한 공급규모 3조1,577
억원에 비해서는 크게 줄어든 수치이다.
게다가 유상증자및 기업공개가 대부분 상반기에 집중된 결과 7월
이후부터는 수급불균형이 상당부분 해소될 전망이어서 주식시장에는 상당한
플러스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또한 대다수 투자자들이 목마르게 기다리는 대대적인 부양조치가 끝끝내
없다 하더라도 정책적 배려에 의한 형식으로 기관매수가세의 분위기가
예상된다.
거기에 코리아펀드 증자, 보험사 주식투자한도 확대, 국민주펀드 신규
설정, 6개 기금의 기관화 지정 가능성등의 수요진작책이 서서히 힘을
발휘한다면 증시는 점차 활력을 되찾을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하반기 경제종합대책의 후속조치가 의외의 호재로 등장할 가능성도
있다.
*** 7월 장세 본격 강세국면의 스타트 될것같지 않아 ***
지금까지의 내용을 종합해 보면 현재의 무기력 장세를 가져온 요인들이
해소될 기미가 아직은 기대난망이므로 7월장세 역시 본격적 장세국면의
스타트가 될것 같지는 않다.
그러나 부분적이나마 그런 요인들이 해소될 기미가 보이므로 6월 장세보다
더 악화된 모습이 7월에 전개될것 같지는 않다.
다만 현재로서는 주식시장이 본래의 상승사이클로 복귀하려면 많은 난관을
거쳐야 하므로 다소 시일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 경제구조의 변화에 대응하는 방어적 투자 자세가 최선 ***
그렇기때문에 현 시황에서는 무엇보다도 경제구조의 변화에 대응하는
방어적 투자자세가 최선일 것이며 앞으로의 장세전환에 대비한 일정비율의
현금보유는 꼭 필요하다.
또한 7월장세 역시 본격적인 금융장세의 급선회가 어려워보이고 기관매매
패턴도 뚜렷한 매수우위가 예상되지 않으므로 중소형주가 매수타깃으로는
그래도 바람직해 보인다.
*** 금융주에 대한 공격적 매수는 신중 기해야 ***
금융주는 그간의 깊은 낙폭에 따른 반등은 있을지라도 앞에서 이야기한
물량압박의 관계로 본격적인 탄력을 되찾으려면 다소 시일이 걸릴 것이다.
금융주에 대한 공격적인 매수는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다.
중소형주라면 내수제조주와 수출관련제조주간의 대결로 압축된다.
최근의 원화절하/수출지원책등의 요인으로 수출관련주가 다소 힘의 우위에
있는게 사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