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병한 대표가 우리밀로 만든 라면을 들어보이고 있다.
천병한 대표가 우리밀로 만든 라면을 들어보이고 있다.
국내 유명 브랜드 라면은 대부분 외국산 밀로 만든다. 빵, 과자 원재료도 거의 외국산이다. 한국에서 밀은 제2의 주식이라고 불릴 만큼 많이 소비되지만 국산 비율은 1~2%밖에 안 된다. 가격 경쟁력에서 밀려 생산량이 줄고, 생산 규모가 작아지면서 가격 경쟁력이 더 떨어지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토종인 ‘앉은뱅이밀’로 라면을 제조하고, 그 라면을 미국 수출길에 올린 농부가 있다. 경남 진주의 천병한 밀알영농조합법인 대표다. 앉은뱅이밀로 만든 라면과 국수, 밀가루가 밀알영농조합법인의 대표 상품이다. 진주시 금곡면 경남우리밀연구소에서 천 대표를 만났다.

“큰 식품업체 라면이 메이저리그라면 앉은뱅이밀 라면은 마이너리그에도 못 끼는 독불장군이죠. 그래도 2년 이상 꿋꿋이 버티면서 지금까지 살아남았습니다. 올해는 작은 물량이나마 미국에 수출하게 됐어요.”

앉은뱅이밀 라면의 면은 보통 라면보다 약간 굵고 색도 더 진하다. 레시피에 맞춰 끓인 다음 면발을 꼭꼭 씹어봤더니 구수한 맛이 났다. 국물은 해물맛을 기본으로 한 개운한 느낌이었다. 시중에 파는 다른 라면 맛과 크게 다르지 않은데 그중에서도 순한맛 라면과 비슷했다.

앉은뱅이밀은 보통 10월에 파종하고 이듬해 6월 중순에 수확한다. 병해충에 강하고 단백질 함량이 낮다는 특징이 있다. “앉은뱅이밀엔 글루텐이 적기 때문에 소화가 잘돼요. 소화 잘되는 밀을 찾는 분들이 좋아합니다. 또 앉은뱅이밀 특유의 좋은 향이 나고요.” 천 대표의 앉은뱅이밀 라면은 대부분 직거래로 팔린다. 좋은 밀로 만든 제품을 찾다가 알음알음 오는 사람들이 소비자다. 생협과 로컬푸드 매장에서도 판매한다.

우리밀 체험장에서 밀가루를 만지는 아이들.
우리밀 체험장에서 밀가루를 만지는 아이들.
천 대표가 처음부터 앉은뱅이밀로 라면을 생산하겠다고 생각한 건 아니다. 밀알영농조합은 밀 농민 13명이 진주 지역 우리밀 농가들의 명맥을 지키고 판로를 찾는 것을 목표로 2012년 세운 회사다. 그런데 국산 밀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가 매우 낮아 국산 밀과 수입 밀 중 선택할 권리 자체를 생각하지 못할 때가 많았다는 게 천 대표의 설명이다. 밀 농사를 포기하는 농가도 이어졌다.

“1990년대 중반 우리밀 살리기 운동이 일어났고 그때 우리밀 소비가 반짝 늘어났습니다. 그만큼 재배면적도 증가했습니다. 하지만 곧 한계에 부딪혔죠. 소비가 계속 따라주지 않으면서 재고 문제가 생겼어요. 2011~2012년에 진주 지역에서도 그랬습니다.” 경남에서 앉은뱅이밀을 재배하고 있는 농가들이 머리를 맞댔다. 답은 하나였다. 소비자들이 앉은뱅이밀을 쉽게 먹을 수 있도록 하는 것. 처음엔 밀가루와 국수를 제조해 팔았다. 소수의 사람들이 알음알음 사갔다. 하지만 우리밀 수요를 확 늘리지는 못했다. 재고 문제 역시 해결할 수 없었다.

고심 끝에 내린 결론은 라면이었다. “1인 가구가 늘어나는 상황에 알맞은 품목이 필요했고 그게 라면이었습니다.” 개발에 들어갔다. 제품 모토를 ‘우리 아이에게 줘도 미안하지 않은 라면’으로 잡았다. 밀은 진주 농가들의 무농약 앉은뱅이밀을 쓰고 스프는 고기가 들어가지 않은 국산 원재료의 채식분말을 이용했다. 2016년 완성품이 탄생했다.

앉은뱅이밀 라면 가격은 1600원이다. 싼 가격은 아니지만 제조 원가가 비싸 남는 게 많지는 않다고 했다. “라면처럼 우리밀을 쉽게 먹을 수 있는 식품을 개발하려고 합니다. 컵라면을 만들어달라는 요청이 있어서 컵라면을 곧 출시할 예정이고요. 황칠나무 가루를 넣은 황칠나무 국수도 개발 중입니다. ”

천 대표가 앉은뱅이밀에 주목한 건 진주 지역에서 많이 재배되기도 하지만 무엇보다 상품 경쟁력이 있다고 봤기 때문이다. 앉은뱅이밀은 특히 아토피와 소화불량, 각종 성인병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글루텐 함량이 낮다. 서양 종자를 들여와 개량한 금강밀이 제과제빵에 적합하다면, 앉은뱅이밀은 점성이 높아 면류에 적합하다는 설명이다. “그동안 정부 주도로 금강밀을 많이 심었는데 이 품종은 빵에 적합합니다. 이 때문에 우리밀로 만든 면은 별로라는 인식이 생긴 겁니다.”

천 대표가 진주 금남면 폐교를 개조해 우리밀 체험장을 꾸민 것도 소비자가 앉은뱅이밀을 조금 더 친근하게 느꼈으면 하는 마음에서다. 체험장 방문객은 꾸준히 늘어나 연 2만여 명에 이른다. 아이들이 밀가루를 직접 만지면서 놀 수 있는 공간과 우리밀 피자와 과자 등을 만들 수 있는 체험시설이 마련돼 있다.

진주=FARM 고은이 기자

전문은 ☞ m.blog.naver.com/nong-up/221354506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