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가족 독립시킨 '부뚜막' … 반지하 움집 벗어난 '철기시대의 혁신'
철기시대

인류 역사는 국가의 성립을 전후해 원시 선사시대와 문명 역사시대로 구분된다. 한반도에서 문명 역사시대로의 이행은 기원전 4세기 이후 장기에 걸쳐 완만한 과정을 밟았다.

기원전 4세기 한반도에 새로운 형태의 토기와 동검을 제작하는 청동기 문화집단이 출현했다. 이 집단에 밀려 송국리형으로 대표되는 기존 청동기 문화는 기원전 2세기까지 소멸했다. 기원전 4세기 이후 중국 대륙은 전국시대의 혼란에 접어들었다. 동세기 중엽 중국인은 요하(遼河) 하류의 동쪽을 무대로 활동하는 조선(朝鮮)이란 정치체를 인지했다. 기원전 3세기 전반 조선은 요동으로 진출한 연(燕)과 충돌했다. 조선은 연에 밀려 한반도 청천강 이남의 평양으로 그 중심을 옮겼으며, 연은 그 이북에까지 세력을 확장했다. 한반도에 들어온 최초의 정치체 조선은 원래 스키타이, 오르도스, 요서의 넓은 지역을 무대로 하는 흉노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문화집단이었다. 이 같은 정치적 변화와 같은 기간 벌어진 청동기 문화집단의 단절적 교체는 밀접한 상관을 지녔을 터다.
일러스트=조영남 기자 jopen@hankyung.com
일러스트=조영남 기자 jopen@hankyung.com
연의 서북 진출과 더불어 한반도에 철기시대의 문이 열렸다. 평북 영변군 세죽리 유적에서는 도끼, 낫, 칼 등 철제 농공구가 대량 출토됐다. 이후 철기 문화는 서해안을 따라 남하하거나 동부로 확산했다. 중부 이남에서는 청동기 문화가 강한 저항세를 보였다. 기원전 2세기 말 연이 망하자 위만(衛滿)이 조선으로 망명해 왕위를 찬탈했다. 조선의 준왕(準王)은 그의 무리를 이끌고 마한으로 내려가 왕이 됐다. 위만조선의 성립은 중국 철기 문화의 확산을 자극했다. 기원전 108년 한(漢)은 위만조선을 정복해 그 지역에 군현을 설치했다. 위만의 무리는 소백산맥을 넘어 진한과 변한으로 이동했는데, 이는 그 지역에 철기 문화를 확산하는 계기가 됐다.

한이 설치한 군현은 기원후 313년까지 421년간이나 존속했다. 그 범역은 오늘날 평안도, 황해도, 함경도 전역에 걸쳤다. 원래 4개 군인데, 얼마 후 낙랑군으로 통합됐다. 전성기 낙랑군 산하에는 25개 현이 있었으며, 인구는 6만3000호, 40만7000명에 달했다. 한반도에 설치된 중국 군현은 대륙의 선진 문물이 유입되는 창구 역할을 했다. 한의 화폐, 거울, 철기가 연안을 따라 서남과 동남으로 널리 유포됐다. 한반도 주민의 문자 생활도 한 군현의 설치와 더불어 시작됐다. 기원후 1세기께 중국인은 낙랑의 백성이 구습에서 벗어나 《시경(詩經)》과 《서경(書經)》을 읊는다고 했다.

부뚜막

미사리 유적의 부뚜막.
미사리 유적의 부뚜막.
기원전 2세기에서 기원후 1세기까지의 기간에 속하는 주거지나 취락 유적은 거의 발굴되지 않고 있다. 그만큼 그 기간 문화적 단절과 정치적 교체가 심각했던 것으로 보인다. 2세기 이후 취락은 다시 번성하기 시작했다. 이전 시대와 비교해 2세기 취락 유적에서 확인되는 중요한 변화는 개별 주거지에 취사시설로 부뚜막이 설치됐다는 점이다. 이와 관련해서는 1987~1992년 발굴된 한강 중류의 미사리 유적이 잘 알려져 있다.

이 유적은 몇 개의 문화 지층으로 이뤄져 있다. 청동기시대 지층에서 발굴된 주거지는 37기인데, 부뚜막이 한 군데도 없다. 원삼국시대(1~3세기) 지층에 속하는 주거지는 20기인데, 그 가운데 17기에 부뚜막이 설치됐다. 부뚜막은 주거지 내부 벽에 돌과 점토를 섞어 붙이는 형태로 만들어졌는데, 토기를 올려 조리할 수 있는 구조로 돼 있다.

인근 남양주시 장현리 유적에서도 같은 현상이 관찰됐다. 여기서는 청동기시대, 원삼국시대, 백제시대(4~6세기)에 걸치는 170기의 주거지가 발굴됐다. 부뚜막은 원삼국시대 설치되기 시작했다. 청동기시대부터 내려오는 주거지 내 노지는 한동안 부뚜막과 병존하다가 3세기까지 모두 자취를 감췄다.

미사리 유적의 백제시대 밭.
미사리 유적의 백제시대 밭.
지금까지 호남에서 발굴된 원삼국시대 이후 주거지는 모두 3100여 기에 달한다. 그 가운데 2세기 것은 16기에 불과한데, 부뚜막을 갖춘 것이 6기다(37.5%). 이후 3세기에 속하는 1580기의 부뚜막 설치율은 48%다. 4세기의 1054기에서는 46%, 5세기의 171기에서는 73%다. 결국 부뚜막은 2세기 후반부터 설치됐으며 5세기까지 확산일로였다고 얘기할 수 있다.

부뚜막은 불을 들이는 아궁이, 솥걸이와 솥받침을 놓는 연소부, 연기가 빠지는 연도(煙道·구들)로 구성됐다. 시설 재료는 초기에는 돌과 점토였는데 점차 판석재로 고급화했다. 그에 따라 부뚜막의 난방 기능이 강화됐다. 부뚜막이 설치됨에 따라 반지하 움집의 벽체도 고급화했다. 연도가 벽체에 시설되면 벽체는 내화성을 지녀야 한다. 이에 반지하 움집의 하부 벽체가 종래의 목재에서 점토를 덧칠한 더 견고한 형태로 바뀌어갔다. 벽체 높이도 높아져 반지하 움집이 점차 지상가옥으로 이행하는 양상을 드러냈다.

연(烟)

전회에서 지적한 대로 청동기시대 인간들은 야외 노지에서 공동 취사를 했다. 공동 취사 단위는 대개 20명으로 소규모 가족 4개의 복합체였다. 곧 청동기시대에서 생활자료의 취득과 소비 단위로서 개별 세대(household)는 20명 안팎의 가족복합체였다. 철기시대에 이르러 부뚜막이 주거지 내에 설치됐음은 소규모 가족이 개별 세대로 성립하기 시작했음을 의미한다. 414년 세워진 고구려 광개토왕비에서는 이렇게 성립한 소규모 가족의 세대를 가리켜 연(烟)이라 불렀다. 반지하 움집의 부뚜막에서 밥 짓는 연기가 지붕 위로 솟은 연도를 통해 피어오르는 모습에서 그런 백성 칭호가 고안됐다고 여겨진다. 551년 세워진 신라 단양적성비도 그의 백성을 가리켜 연이라 했다. 문명 역사시대의 상징으로 국가가 솟아오를 때 그 저변에는 소규모 가족이 공동 취사의 집단에서 분리돼 개별 취사의 세대로 자립하는 역사의 진보가 가로놓였다.

세대복합체

부여 부소산성에서 발굴된 반지하 움집(복원).
부여 부소산성에서 발굴된 반지하 움집(복원).
그렇지만 소규모 가족 세대로의 자립성은 아직 생산 과정에까지 미치진 못했다. 생산력 수준에 제약이 있어 생산 과정은 몇 개의 세대가 결속한 공동 노동으로 이뤄졌다. 정치 권력에 대한 각종 부세 부담에서도 그랬다. 소규모 가족이 생산 과정에서나 부세 부담에서까지 자립적 세대로 성립한 상태를 가리켜 필자는 소농(peasant)이라 부른다. 한국사에서 소농이 농가의 일반적 형태로 성립하기 위해서는 이후에도 1000년 이상의 세월이 소요됐다. 2~5세기에 분출한 소규모 세대는 생산 과정에서 나아가 사회·정치·종교의 다양한 수준에서 세대복합체(household complex)로 결속했다.

미사리 유적의 백제시대 지층에서는 11기의 주거지와 더불어 9900㎡ 이상의 밭이 발굴됐다. 원래는 그보다 훨씬 더 넓었을 것으로 보인다. 제시된 자료 사진에서 보듯이 이랑과 고랑의 폭이 넓고 깊이가 얕다. 이랑과 고랑의 접면은 직선이고 수직이다. 이 같은 이랑과 고랑의 생김새는 거친 쟁기갈이의 소산이 아니다. 쟁기는 아직 보급되지 않은 단계였다. 이랑과 고랑은 여러 사람이 쭈그리고 앉아 쇠호미로 흙을 긁어내는 방식으로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그런 방식의 노동이라면 노동력이 2명에 불과한 소규모 가족이 9900㎡ 규모의 넓은 밭을 그 가족만의 힘으로 경작하긴 곤란했을 것이다. 밭은 11기의 주거지에서 공동 경작했음이 분명하다. 그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큰 주거지 유적에서는 벼루, 방제경, 쇠호미 등이 출토됐다. 방제경은 한경(漢鏡)을 모방한 거울을 말한다. 주거지 주인은 외부와의 교통을 책임진 유력자였다. 11개의 소규모 가족은 이 사람을 중심으로 하나의 세대복합체로 결속했다.

이 같은 세대복합체의 존재는 미사리 유적에서뿐 아니라 각지 취락 유적에서 어렵지 않게 확인된다. 세대복합체는 공동 노동의 단위였을 뿐 아니라 고대 국가가 구축한 백성 지배체제의 기초 단위를 이뤘다. 4~6세기 한국인이 이 세대복합체를 가리켜 무엇이라 불렀는지는 아직 문자생활이 일반화하지 않아서인지 전하지 않는다. 그것이 확인되는 것은 7세기 말 신라촌락문서인데, 공연(孔烟)이라 했다.

이영훈 < 前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