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7 남북한 정상회담’이 이틀 앞으로 다가오면서 ‘판문점 공동선언문(가칭)’에 어떤 내용이 담길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5월 말이나 6월 초로 예정된 북·미 정상 간 ‘핵 담판’의 ‘징검다리’가 될 이번 회담은 휴전 후 70년 만에 한반도 평화체제 전환 등 동북아시아 냉전구도에 획기적 변화를 가져올 것이란 긍정적 전망이 나온다.
終戰·평화체제·포괄적 비핵화가 핵심의제… "문 대통령·김정은 사인만 남았다"
남북은 사전 실무회담과 양국 정상의 메시지를 통해 종전선언과 한반도 평화체제 전환, 비핵화 문제 등 주요 의제에 합의했다. 정상회담 준비를 위한 고위급회담은 추가로 열지 않기로 결정했다. 필요한 논의는 25일 남북합동 리허설에 참석하는 북측 선발대와 하기로 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24일 “이번 정상회담은 일종의 ‘약속 대련’과 같다”며 “종전선언과 평화협정체제 전환을 비롯해 포괄적 비핵화 합의 등은 남북 양측의 사전 교감으로 상당한 의견 접근을 이뤘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 간 직접 만남을 통한 ‘끝내기’만 남겨두고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합의문 초안에는 종전선언과 한반도 평화체제 전환, 비핵화에 대한 양국 정상의 의지가 포함될 것으로 관측된다.

북한은 정상회담을 1주일 앞둔 지난 20일 노동당 전원회의를 열어 기존의 핵무력, 경제건설 병진노선 철회를 선언했다. 북한은 핵동결 카드를 선제적으로 꺼내들면서 경제건설에 총집중하기로 노선을 바꿨다.

청와대 관계자는 “실무회담 등을 통해 비핵화 등 주요 의제에 대한 합의가 이뤄진 만큼 정상회담은 이를 끝내기 위한 ‘약속 대련’과 같다”며 “성공적인 북·미 정상회담으로 넘어가기 위한 합의 수준은 충분히 달성됐다”고 평가했다.

정상회담에 앞서 최종 합의문 조율을 위해 예정됐던 고위급 회담을 생략한 것도 의제와 관련해 양측이 충분한 사전 합의를 이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지금은 원만하게 일이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굳이 올라갈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모든 것이 다 해결된 것은 아니지만 예정대로 진행되고 있다고 보면 된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 간의 핫라인 첫 통화에 대해서도 “남북 정상회담 이전이 될지 이후가 될지도 미정”이라고 말했다. 남북 간 문제가 있어 통화가 늦어지고 있지 않느냐는 지적에 대해서는 “‘통화가 굳이 필요한가’라고 볼 수도 있지 않느냐”며 가능성을 일축했다.

디만 이번 정상회담은 실무급 회동을 통해 합의문을 완성한 1, 2차 회담과 달리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마주 앉아 비핵화를 비롯 한반도 공동 번영 등 의제에 대해 ‘톱다운’ 방식의 논의를 하는 만큼 변수는 남아 있다.

손성태 기자 mrhan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