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 칼럼] '제2의 중국'을 꿈꾸는 인도 경제
인도가 글로벌 경제의 신(新)성장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다. 주역은 나렌드라 모디 총리다. 그는 ‘메이크 인 인디아(Make in India)’ ‘디지털 인디아(Digital India)’ ‘스타트업 인디아(Startup India)’로 상징되는 ‘모디노믹스’를 제시했다. 성장률은 2014년 7.2%, 2015년 7.8%, 2016년 7%를 기록했다. 인플레이션은 5% 이하로 떨어졌다. 외국인직접투자(FDI)는 2016년 600억달러로 급증했다. 경제 규모는 작년 세계 7위로 올라섰다.

모디노믹스의 키워드는 제조업 육성, 외자 유치, 인프라 건설이다. 제조업 비중을 2022년까지 25%로 확대해 ‘1억 개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한다. 외자 유치에 올인한다. 컨설팅사 AT커니에 따르면 투자관심도가 작년 8위로 상승했다. 싱가포르와 일본이 적극 투자에 나섰다. 거시경제 여건 호전, 투자환경 개선, 글로벌 기업 투자경쟁 심화가 주요 요인이다. 인프라 투자는 100개 스마트시티와 2000만 가구 서민주택 건설로 상징된다.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에 기반을 둔 미래형 도시를 통해 4차 산업혁명의 주역이 되겠다는 구상이다. 세제개혁과 화폐개혁도 빼놓을 수 없다. 전국 단일의 부가가치세(GST)를 도입했다. 화폐개혁은 현금 거래 비중이 87%에 달하는 경제를 신용경제 시스템으로 전환하려는 승부수다.

젊고 풍부한 노동력이 인도 경제의 강점이다. 2015년 인도의 중위(中位) 연령은 27.3세로 브릭스(BRICs) 국가인 중국 36.8세, 러시아 39세를 압도한다. 청년층이 2억 명을 넘는다. 임금은 중국의 3분의 1~5분의 1 수준이다. 스마트시티, 전기차, 소프트웨어, AI 같은 첨단산업을 주목한다.

자동차산업 성장잠재력이 크다. 작년 478만 대를 생산해 한국을 제치고 세계 5위에 올라섰다. 2026년 미·중에 이어 세계 3대 시장이 될 전망이다. 정보기술(IT)산업의 미래가 밝다. 뛰어난 인재가 많다. 구글 최고경영자 순다르 피차이, 마이크로소프트의 사티야 나델리가 대표적이다. ‘인도의 매사추세츠공대(MIT)’로 불리는 인도공과대(IIT) 출신이 첨병 역할을 한다.

페이스북 사용자가 2억1700만 명으로 미국에 이어 세계 2위다. 14%에 불과한 모바일 결제 비중도 급상승하고 있다. ‘페이티엠’의 성공 사례는 인상적이다. 2010년 비자이 샤르마가 창업했는데 중국 알리바바로부터 10억달러의 투자를 유치했다. 9000만 명 이상이 이용하고 10만 개 상점을 브랜치화해 다양한 금융서비스를 제공한다.

물론 장애물도 적지 않다. 국영 은행이 취약하다. 작년 3월 기준 회수가 어려운 대출이 12%에 달한다. 시가총액 5억달러 이상 기업 288개사의 순채무가 2800억달러다. 신용평가사 피치에 따르면 은행권은 650억달러 추가 자본이 필요하다. 사회간접자본(SOC)이 열악하다. 세계은행 물류활동성 지수 평가에서 160개 국가 중 35위다. 세계경제포럼의 인프라 순위는 87위다. 에너지원으로 화석연료에 과다 의존해 지구 온난화 주범으로 지목된다.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아마티야 센은 인프라 투자 부족을 인도와 중국의 경쟁력을 갈라놓은 요인으로 지적한다. 의료 시스템이 취약하다. 평균수명이 68세에 불과하고 국내총생산(GDP)의 1.4%만 의료 부문에 지출한다. 최근 5억 명의 저소득층에게 무상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로 발표했다.

사회적 갈등이 녹록지 않다. 카스트 제도를 둘러싼 계층 간 긴장이 심화되고 있다. 1억 명을 넘는 불가촉천민 문제도 ‘뜨거운 감자’다. 최하위 계층 ‘하리잔’ 출신 람 나트 코빈드가 대통령이 됐지만 계급의식은 여전하다. 고(故) 리콴유 싱가포르 총리는 카스트 제도에 발목 잡힌 현실에 우려를 밝힌 바 있다. 힌두 민족주의자 모디의 등장으로 힌두교도와 무슬림 간 갈등이 심화되는 양상이다.

내년 총선이 실시되는 정치 상황도 유동적이다. 29개 주 가운데 19개 주를 여당인 인도국민당이 장악하고 있지만 라훌 간디가 이끄는 국민회의 부상이 범상치 않다. 지난해 12월 모디의 정치적 고향인 구자라트주 총선에서 여당은 간신히 과반수를 유지했다. 다민족·다문화 국가 인도가 ‘제2의 중국’이 될 수 있을까. 미래는 모디의 개혁과 경제잠재력의 확장 여부에 달려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