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에세이] 종손들의 대화
유교 문화의 본고장인 경북 안동에는 수십 개 종가(宗家)가 있다. 종가가 되려면 세 가지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불천위(큰 공훈이 있어 영원히 사당에 모시기를 나라에서 허락한 신위) 조상과 그럴싸한 종택 건물, 그리고 제사를 받들고 손님을 접대할 종손이 있어야 한다. 종손은 교육과 사회 활동을 위해 객지에 나가더라도, 나이가 들어 종손 역할을 해야 할 때면 어김없이 낙향해 종가를 지키는 것을 숙명으로 삼는다. 하회마을의 풍산 류씨 서애파 종손과 내앞마을의 의성 김씨 대종손도 그런 숙명에 순응하고 있다. 그들 역시 서울 등지로 유학해 명문 학교를 졸업하고 잘나가는 직장을 얻어 국제적인 활동도 했지만, 돌아가신 선친의 대를 이어 현재의 종가를 지키고 있다.

두 집안은 특별한 인연과 악연이 있다. 퇴계 이황은 두 명의 수제자를 뒀다. 의성 김씨인 학봉 김성일과 풍산 류씨인 서애 류성룡이다. 퇴계·서애·학봉은 퇴계학파의 중심인데, 퇴계학파의 중심 서원인 호계서원을 세울 때 세 명의 위패를 봉안하게 됐다. 스승인 퇴계의 위패는 당연히 사당의 중앙에 놓았으나, 그다음 순서인 왼쪽에 누구의 위패를 모실 것인가로 두 가문은 충돌했다. 나이는 학봉이 4살 많았다. 관직은 학봉이 관찰사에 그쳤고 서애는 영의정까지 올랐다. 서애파는 관직을 기준으로 우위를 주장했다. 학봉파는 나이를 우선시했다. 당대 유림계가 서애 우위를 판정했으나, 학봉파가 반발하자 급기야 위패를 병산서원으로 옮겨오고 학봉은 호계서원에 남게 됐다. 17세기의 이 사달은 20세기까지 해결되지 않아 이를 ‘병호시비’라 불렀다. 300여 년 동안 양측은 사사건건 대립했다. 서로의 통혼도 금지할 정도였다.

우연히 두 종손을 같이 만날 기회가 생겼다. 두 사람은 동향의 선후배로 매우 친하고, 종손의 어려움을 같이 나누는 사이였다. 그들의 대화는 여러 면에서 특이했다. 병파와 호파, 청계공과 학봉할배 등의 용어가 아무렇지도 않게 등장한다. 서애할배의 바둑 실력이나 학봉 형제의 됨됨이를 마치 어제 일처럼 이야기한다. 300년 전의 일화를 지금 일처럼 말하는 둘은 17세기 사람이 아닐까 의심될 정도였다. 그러나 병호시비를 한낮 교조적인 논쟁으로 치부하고, 종택 관리의 어려움을 공유하며, 앞으로 벌일 서로의 사업을 논의하는 것을 보면 틀림없는 현대인이다. 두 종손은 시내에 나가 한잔 더 하자며 또 다른 종손을 호출했다. 세 종손의 대화는 더욱 시공을 초월할 것이다. 한 시간 가까이 경험한 종손의 세계는 일종의 시간 여행이었고, 그들의 인품은 다른 차원의 품격이었다.

김봉렬 < 한국예술종합학교 총장 brkim@karts.ac.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