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9개국 "GM작물 안전 논란, 함께 해결"
나라마다 천차만별인 유전자변형생물체(LMO)의 위해성 기준과 관리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아시아 9개국 과학자와 농업정책 관계자, 비정부기구(NGO) 활동가가 한자리에 모인다. 오는 22~24일 제주 서귀포시 스위트호텔에서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 주최로 중국과 인도, 호주 등 아시아·태평양 지역 9개국 전문가들이 참가한 가운데 ‘제1회 LMO 환경방출 및 안전관리 아시아 포럼’이 열린다. 장호민 생명연 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장은 “LMO의 일부분이기도 한 유전자변형(GM) 작물이라는 단일 이슈를 두고 서로 상황이 다른 아시아 주요 국가 연구자와 정책가, NGO 활동가가 모이는 건 처음 있는 일”이라고 말했다.

◆유전자변형 작물 두고 복잡한 각국 상황

GM작물 보급을 위한 비영리단체인 농업생명과학 응용을 위한 국제사업단(ISAAA)에 따르면 지난해 GM작물 경작 면적은 1억8510만 헥타르(㏊)에 이른다. 이는 남한 면적의 100배 규모다. 하지만 각국마다 GM작물을 받아들이는 과정은 제각각이다.
아시아 9개국 "GM작물 안전 논란, 함께 해결"
국내에선 최근까지 GM벼를 비롯한 GM콩, GM잔디 등의 시험재배를 놓고 논란이 일었다. 농민단체와 시민단체들은 GM작물 격리포장에서 진행하는 GM작물 시험재배가 자생 종자를 오염시킬 가능성이 크다며 반대하고 있다. 국내에서 본격적인 상용 GM작물이 재배된 일이 없다. 농촌진흥청은 최근 GM작물 상용화 중단을 선언했지만 GM작물의 지속적 연구와 시험재배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반면 중국은 GM작물을 중심으로 육종 분야 혁신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면화를 시작으로 포플러, 파파야, 쌀, 옥수수가 재배 승인을 받았다. 해충저항성 쌀과 피타아제라는 효소가 강화된 옥수수는 재배 승인 유효기간이 2019년으로 연장됐다. 하지만 최근 중국인의 인식은 바뀌고 있다. 중국인들은 2000년대 GM작물에 관대했지만 2010년 이후 GM식품에 대한 위험 의식이 형성됐다. 중국 정부도 무조건적 확대보다는 신중한 보급을 통해 우려를 불식하는 쪽으로 방향을 바꾸고 있다.

인도에서 생산한 면화는 96%가 GM작물이다. 그러나 인도는 2009년 독자적으로 개발한 해충저항성을 가진 가지에 상업재배를 승인했다가 환경단체의 반발로 금지 명령을 내렸다. 호주 역시 살충제 사용량을 줄이고 물을 덜 쓰는 면화와 건강에 좋은 지방인 오메가-3가 풍부한 캐놀라를 재배하기 위해 GM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하지만 수출이 많은 GM캐놀라의 품종 승인에는 부정적인 여론이 많다.

◆통제 밖 GM 기술 위협 맞서 논의 필요

GM작물 재배에 찬성하는 사람들은 살충제, 제초제 같은 농약과 비료 소비를 줄여 환경오염을 완화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식품으로서 안전성도 염려할 필요가 없다는 주장도 점차 설득력을 얻고 있다.

그럼에도 반대론자들은 특정 작물의 유전자를 인위적으로 변형할 경우 생태계에 심각한 위협이 될 것이라고 본다. 특정 종만 살아남아 전체 종을 완전히 대체하는 ‘유전자 드라이브(진 드라이브)’가 벌어지면 상황을 예측하기 힘들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수세대 동안 검증해야 할 GM작물이 감시와 통제를 벗어난 사례가 자주 발견된다. 중국에선 2004년 허베이성의 한 기업이 GM쌀 종자를 허가 없이 농민에게 판매해 9개 지역에서 불법으로 재배된 데 이어 2013년에는 GM유채 종자가 일반 종자로 둔갑해 팔리기도 했다. 낙농 선진국 호주에서도 서호주 유기농 캐놀라 재배지가 인근 GM캐놀라 재배농가로부터 오염돼 소송으로 이어졌다. 장 센터장은 “정부와 지자체, 연구자, 기업, NGO 등 보는 관점마다 GM작물 재배와 관련해 이견이 존재한다”며 “환경적으로 파급 효과가 큰 만큼 가까운 아시아 국가의 이해 관계자들이 의견을 공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유전자변형생물체(LMO)

유전자변형유기체(GMO) 가운데 생식·번식이 가능한 것을 지칭. GMO는 생식이나 번식이 가능하지 않은 식재료, 생약성분 등이 포함된 더 넓은 개념이다. 통상적으로 두 개념은 혼용돼 같은 의미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박근태 기자 kunt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