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S엠트론 직원이 18일 전북 완주에 있는 트랙터 공장에서 소형 트랙터 ‘MT1’에 앞쪽 엔진룸 덮개를 씌우는 작업을 하고 있다.  /완주=노경목 기자
LS엠트론 직원이 18일 전북 완주에 있는 트랙터 공장에서 소형 트랙터 ‘MT1’에 앞쪽 엔진룸 덮개를 씌우는 작업을 하고 있다. /완주=노경목 기자
자동차 공장과 비슷할 것이라는 생각은 보기 좋게 빗나갔다. 대형 컨베이어벨트가 트랙터 본체를 싣고 분당 14.5m의 속도로 움직이고 있었다. 18일 방문한 LS엠트론의 전북 완주공장 내에선 산업용 로봇 대신 140명의 직원이 심혈을 기울여 엔진부터 바퀴에 이르는 전 품목을 일일이 트랙터 몸체에 달고 있었다. 25마력의 소형부터 200마력 이상의 대형 트랙터까지 200개 모델이 모두 한 개 라인에서 생산되고 있었다. 그럼에도 7분30초에 한 대꼴로 만들어지고 있었다. 2008년 대당 11.5분이던 생산시간을 줄인 것으로 LS엠트론은 생산혁신을 통해 내년엔 이 시간을 5분으로 단축할 계획이다.

◆철저한 현지화로 승부

LS엠트론 '맞춤 트랙터'로 폭풍성장
완주 공장은 연 2만 대의 트랙터 생산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여기에 중국 칭다오 공장(5000대)과 브라질 조인빌리 공장(5000대)을 더해 LS엠트론은 올해 3만 대의 트랙터를 생산해 매출 5835억원, 영업이익 197억원의 실적을 올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세계 트랙터 시장이 한 해 50조원, 대수로는 130만 대 정도인 점을 감안하면 매출 기준 시장 점유율은 1% 남짓에 불과하다. 각각 10~20%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미국의 존디어와 일본 구보다, 독일 클라스 등에 비교하면 미미하다. 하지만 성장속도는 빠르다. 2008년 관련 사업부를 독립시킨 이후 매출은 3배, 영업이익은 8배 이상 성장했다.

비결은 뛰어난 현지화 능력에 있다. 국가마다 각양각색인 농업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면 트랙터는 무용지물이 된다. 열대성 소나기에 높이 1m까지 물이 들어차는 동남아시아에서는 방수 기능이 좋은 트랙터가 필요하고, 자갈 때문에 농기계가 쉽게 망가지는 중남미에서는 내구성이 강한 트랙터가 있어야 한다. LS엠트론은 트랙터 모델을 하나 개발하더라도 각 국가에 맞는 기능을 갖출 때까지 1~2년간 가다듬는다. 시장조사를 통해 추가하고 제외해야 할 기능을 분석하고 현지 검증도 꼼꼼하게 한다. 같은 나라라도 지역이나 계절에 따라 조건이 달라질 수 있기에 검증 작업만 1년 넘게 걸릴 때도 있다.

1977년 첫 트랙터를 생산한 이래 꾸준히 축적한 기술력도 강점이다. 1992년에는 엔진을 자체 생산하기 시작해 완주에는 엔진 개발을 위한 별도의 연구소도 갖추고 있다. 이상민 트랙터 기획담당은 “LS엠트론 정도 규모의 트랙터 회사 중 엔진까지 자체 생산하는 곳은 거의 없다”며 “생산비를 낮추고 온실가스 규제 등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이유”라고 설명했다.

◆스마트 공장으로 효율 개선

이 같은 기술력과 현지 시장 분석을 통해 탄생한 제품이 올 1월부터 판매를 시작한 25마력의 트랙터 ‘MT1’이다. 한국 농가에서 100마력 안팎, 대평원이 있는 미국과 중남미에서는 300마력 이상의 트랙터가 사용되는 가운데 트랙터 중 가장 작은 모델이다. 잔디밭과 정원을 관리하는 ‘취미용 트랙터 시장’이 미국에 있다는 것을 파악한 뒤 2015년부터 제품 개발에 들어갔다. 여성과 노약자도 쉽게 운전할 수 있는 편의성에 다양한 작업 능력과 빠른 속도까지 갖춰 높은 인기를 끌고 있다. 올해 1500대가 판매되면 미국의 50마력 이하 트랙터 시장에서 LS엠트론의 점유율은 7%까지 높아질 전망이다.

LS엠트론은 또 60억원을 들여 완주공장을 스마트공장으로 탈바꿈시키고 있다. 이를 통해 내년 생산 규모를 현재의 2배 수준인 연 4만 대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다양한 모델을 혼류(混流) 생산하면서 모델 전환 과정에서 나타나는 불량과 작업 지체를 줄이는 것이 목표다. 생산단계마다 설치된 작업용 디스플레이를 통해 모델마다 다른 부품과 공정 방식이 일일이 표시된다. 이상민 담당은 “세계 트랙터 시장은 동남아 등 개발도상국 시장을 중심으로 계속 커지고 있다”며 “현지 사정에 맞는 트랙터를 더 많이 공급해 시장 점유율을 빠르게 높여나가겠다”고 말했다.

완주=노경목 기자 autonom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