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원전 정책에…원전업계 졸지에 '일감 절벽'
탈원전 정책에…원전업계 졸지에 '일감 절벽'
문재인 정부가 ‘탈원전 정책’을 공식화하면서 원전 관련업체들이 큰 충격을 받고 있다. 그동안 ‘설마설마하던 일’이 현실화됐기 때문이다. 국내 원자력발전 설비시장을 이끌고 있는 두산중공업을 비롯해 700여 개 협력사는 말 그대로 ‘패닉’이다. 19일 고리 1호기가 가동을 공식 중단하면서 원전 해체 시장이 열렸지만 아직은 먼 얘기다.

원전 줄줄이 백지화

가장 큰 타격을 받은 곳은 ‘원전 대장주’인 두산중공업이다. 이날 이 회사 주가는 전날보다 11.0% 하락한 2만1450원에 장을 마쳤다. 두산중공업의 지난해 매출 13조8927억원 가운데 원전분야 매출은 15% 정도다. 하지만 다른 사업부문보다 수익성이 높다는 점에서 투자자에게 큰 실망을 안겨줬다는 분석이다. 두산중공업은 국내 유일의 원전 주기기(원자로, 증기발생기, 발전터빈 등) 공급 업체로, 1980년대부터 지금까지 32기의 원자로와 108기의 증기발생기를 한국수력원자력 등에 공급했다.

건설하고 있는 신고리 5, 6호기의 불확실성도 높아졌다. 문 대통령은 이날 “안전성과 함께 공정률, 투입비용, 보상비용, 전력설비 예비율 등을 종합 고려해 이른 시일 안에 사회적 합의를 도출할 것”이라고 말했다. 상황에 따라 건설을 중단할 수도 있다는 얘기다. 이 경우 1조원가량의 일감을 허공으로 날린다.

협력사에도 연쇄적인 매출 타격이 일어날 수밖에 없다. 또 ‘신규 원전 건설 중단’ 발표로 그동안 수주를 노려오던 경북 울진의 신한울 원전 3, 4호기, 경북 영덕의 천지 1, 2호기도 백지화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에 따라 국내 원전사업 기반이 뿌리째 흔들리고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에너지경제연구원은 원전사업이 약 36조2000억원의 생산 유발과 연인원 9만2000명의 고용창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정했다. 설계, 주기기 및 보조기기, 시공사 등 700여 개 원자력 공급업체와 관련 기업에 3만여 명의 근로자가 일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원전에 대한 정치적 찬반은 있을 수야 있겠지만 이런 식으로 국가기간사업 명맥을 끊어놓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특히 수출 경쟁력을 확보하지 못한 중소기업의 위기감이 크다. 익명을 요구한 A사 대표는 “수출 등을 통해 해외실적 기반을 마련하지 못한 기업엔 청천벽력 같은 소식”이라며 “당장 존폐를 걱정해야 할 상황”이라며 한숨을 쉬었다. 한국원자력기자재진흥협회 관계자도 “정부가 어떤 퇴로도 없이 원전산업을 죽여버리는 것은 무책임한 처사”라고 비판했다.

해체 시장서 반전 노리지만…

문 대통령은 이날 탈원전을 발표하면서 업계에 원전 해체 시장에 관심을 가져줄 것을 당부했다. 총 1000조원 규모로 추정되는 글로벌 원전 해체시장에서 새로운 기회를 잡을 수 있다는 것이다. 한국원자력연구원에 따르면 세계 원전 해체시장은 2050년까지 250조원 규모로 확대될 전망이다. 국제원자력기구는 세계 원전 해체시장 규모를 2030년까지 약 500조원, 2050년엔 약 1000조원 규모로 급성장할 것으로 관측한 바 있다.

전 세계에서 가동 중인 원전은 449기다. 전문가들은 2020년을 전후로 1960~1980년대 지어진 원전 대부분이 설계 기한을 다할 것으로 보고 있다. 2015~2019년 76기, 2020년대 183기, 2030년대 127기 등이다. 두산중공업이 수혜를 받을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이 회사는 지난해 증기발생기와 같은 대형 금속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는 ‘대형 방사성 금속폐기물 처리 상용화 기술’을 국책과제로 개발을 마쳤다. 다만 원전 해체시장이 본격적인 수익원으로 다가오기까지 앞으로 15년 정도의 시일이 남았다는 점에서 중소 원전업체가 그때까지 버티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

박재원 기자 wonderfu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