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학자가 된 상사맨.’

상사맨 출신 보험학자 김헌수 신임 한국보험학회장 "보험업 위기…전문인력 양성 힘쓸 것"
지난 26일 제29대 한국보험학회장에 선출된 김헌수 순천향대 교수(58·사진)의 얘기다. 한국보험학회는 국내에서 가장 권위 있는 보험학술단체다. 정부의 각종 보험 관련 정책에 대해 조언할 뿐 아니라 생명보험협회장과 손해보험협회장 후보도 추천한다. 김 회장은 금융발전심의위원회 위원, 한국리스크관리학회장 및 아시아태평양보험학회장(APRIA)을 지냈고, 금융위원회 금융옴부즈만과 금융감독원 제재심의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김 회장이 처음부터 보험에 관심을 둔것은 아니었다. 그는 1985년 부산대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선경종합상사(현 SK네트웍스)에서 직장생활을 시작했다. 이곳에서 근무하며 해외 출장이 잦았던 그는 우연히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에서는 건강 관리와 관련된 산업을 유망하게 본다는 얘기를 들었다.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병원 경영과 건강보험 등에 관련된 학문과 기업에 대한 수요가 늘어날 것이라는 설명이었다.

김 교수는 “당시 한국 보험사들은 질병 보장 보험에는 관심이 없고 오로지 저축성 보험 판매에만 집중했다”며 “보험 관련 학문을 공부한 인력도 별로 없었던 탓에 유학을 결심했다”고 말했다. 그는 1987년부터 1995년까지 미국 조지아주립대에서 보험 관련 석·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국에서는 1995년 당시 보험개발원 산하 보험연구소에서 활동을 시작했다. 연구 분야는 다양했다. 자동차보험부터 건강보험, 국민연금, 보험범죄 등을 다룬 논문을 꾸준히 내놨다.

김 교수는 현재 국내 보험산업에 대해 “적폐가 청산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표현했다. 그가 말하는 ‘적폐’란 보험사들이 복잡한 상품 구조를 빌미로 금융 소비자 보호를 소홀히 해온 관행을 뜻한다. 그는 “최근 자동차보험을 중심으로 비교적 설계가 단순한 인터넷 보험 상품이 많이 나오면서 소비자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올해와 내년은 보험사들에 인공호흡이 필요할 만큼 위중한 시기”라고 진단했다. 2021년 도입될 새 국제회계기준(IFRS17)과 2020년께부터 적용될 신지급여력(신RBC) 제도 도입을 동시에 준비해야 하기 때문이다. 보험사는 두 제도를 대비하기 위해 보장성보험 중심으로 영업해야 하고, 후순위채 발행 등으로 자본도 확충해야 한다. 판매 상품에 따른 미래 부채 규모를 정확하게 계산해야 하는 부담도 안게 됐다. 보험사는 가입자에게 줄 보험금을 부채로 보는데, 금리를 비롯해 △계약유지율 △평균 수명 △글로벌 시장 변화 등에 따라 회계 장부상 부채 규모가 달라질 수 있다.

김 교수는 “이 같은 보험사 리스크를 정확하게 책정할 수 있는 전문인력 양성을 보험학회의 첫 번째 과제로 삼겠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보험을 공부하면 보험사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 취업할 수 있다”며 “보험 전문인력 양성은 젊은 세대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도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박신영 기자 nyus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