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네이버 FARM] 소 키우는 서른 한살 레게머리 이장님
농촌 마을에서 이장(里長)은 바쁩니다. 고령화율이 높은 곳에서는 어르신들의 의견을 세심하게 모아 마을의 대소사를 처리해야 합니다. 농민들과 군청·읍면사무소, 농협을 오가며 행정업무를 처리하는 것도 이장의 몫입니다. 예전엔 이장이라고하면 먼저 지역 어른이 떠올랐습니다. 고령화 정도가 심해지면서 이장 연령대가 낮아졌다고해도 50대 이상이 주류를 이룹니다.

이런 가운데 레게머리를 한 30대 초반의 젋은 농부가 이장을 맡고 있는 곳이 있어 화제입니다. 경기 안성시 쌍지리입니다. 갓 서른한살, 이른바 청년농부입니다. 초등학교 시절부터 농부를 꿈꿨다는 윤태광 풀무골체험농장 대표의 얘기입니다.

나이는 어리지만 농업에 발을 디딘지 11년째 되는 ‘중견 농부’입니다. 할아버지와 아버지의 뒤를 이어 가업인 낙농업을 이어받았습니다. 차려놓은 밥상에 숟가락만 얹은 건 아닙니다. 농업교육과 체험농장, 팜 캠핑 등을 통해 마을 분위기를 바꿔 나가고 있습니다. 다른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는 겁니다.

이달 초 찾은 안성 고삼면 풀무골에듀팜 한편에선 컨테이너 공사가 한창이었습니다. 마을 어린이들이 책을 읽고 공부할 수 있는 작은 도서관을 짓고 있습니다. 윤 대표는 “마을 아이들이 공부할 수 있는 공간이 마땅치 않아 정부 보조금으로 체험농장 부지에 작은 도서관을 짓기로 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올해 초 마을 이장을 맡은 뒤 계획했던 일들 중 하나입니다.

▶31세에 어떻게 이장이 될 수 있었나요.

“특별한 건 없어요. 이 마을에서 태어나 자랐고 젊다 보니 마을 어르신들이 한번 해보라고 맡겨주셨습니다.”
[한경·네이버 FARM] 소 키우는 서른 한살 레게머리 이장님
▶이장이 된 뒤 주로 어떤 일을 했나요.

“올초에는 마을 대동제를 준비했어요. 봄철 농번기가 시작되기 전엔 마을 주민들이 농사짓는데 필요한 비료, 농업용 비닐, 농자재 수량을 파악해 농협에 전달한 뒤 받아온 농자재를 마을 주민들에게 나눠주는 일도 했구요. 얼마 전엔 마을 어르신들이 버스 정류장 표지판이 있었으면 좋겠다 하셔서 표지판을 세우고 버스에서 내리기 편하도록 바닥을 포장하는 일도 했습니다.”

윤 대표는 스물 한 살이던 2007년 농업과 축산업에 뛰어들었습니다. 초등학교 시절부터 장래희망으로 농부를 적어냈습니다. 실업계 고등학교를 선택한 건 축사를 관리하는 데 필요한 용접기술을 배우기 위해서였다는 게 그의 설명입니다. 고교 졸업 후엔 농·축산업 특화 전문대학인 연암대학(LG연암학원이 운영) 에서 축산을 전공했습니다.

윤 대표의 부친은 당시 소 수백 마리를 사육하는 ‘부농’이었습니다. 다른 젊은이들보다는 사업 시작이 순탄했습니다. 그는 단순히 가업을 물려받는 걸 넘어 대학에서 배운 지식을 바탕으로 농장을 발전시켜 나갔습니다. 벼, 옥수수, 호밀, 연맥 등 소의 사료가 되는 작물을 직접 재배해 사료 비용을 줄이고 사료를 개량해 우유 생산량을 늘려 나갔습니다.

그런 윤 대표에게 시련은 찾아옵니다. 2013년 브루셀라병이 안성 일대에 퍼지면서 자식처럼 길러오던 소 100여 마리를 폐사 처분해야 했습니다. 농장 운영에 뛰어든 뒤 처음 겪는 큰 시련이었습니다. 농사를 그만두겠다는 마음으로 농장을 정리하고 반년 넘게 고향을 떠나기도 했습니다.

▶그때 심정이 어땠나요.

“말로 표현할 수가 없어요. 그때를 생각하면 지금도 마음이 아파요.”

▶경제적으로 피해가 컸을텐데요.

“폐사 처분으로 얼마나 손해 봤는지는 제대로 계산해보지 않았아요. 자식이 죽었을 때 부모가 얼마나 손해를 봤는지 따지지 않잖아요.”
[한경·네이버 FARM] 소 키우는 서른 한살 레게머리 이장님
▶다시 농부로 돌아온 이유는 뭔가요.

“소를 폐사 처분한 다음에 경기 용인시에 있는 전자제품업체 생산공장에서 일했어요. 반년 넘게 일했는데 빡빡하게 짜여진 조직 생활이 저랑은 잘 맞지 않더라고요. 어렸을 때부터 농부로 살겠다고 다짐했는데 한번 넘어졌다고 포기하는 것도 영 이상하고...다시 도전해보자고 마음먹었어요.”

짧은 방황을 마치고 돌아왔지만 위기는 또다시 찾아왔습니다. 2014년 말부터 새로 한우 수십 마리를 기르기 시작했는데, 소값이 급락한 겁니다. 사료값도 건지기 힘들었다는 게 그의 설명입니다. 윤 대표는 “아내가 갖고 있는 패물을 팔아 밀린 사료값을 갚으면서 생각해보니 그냥 소만 키워서는 안되겠다는 결론에 도달했다”고 말했습니다.

그 결과물이 낙농체험농장인 풀무골에듀팜입니다. 경기도 농업기술원과 안성시 농업기술센터의 지원을 받아 작년 봄에 문을 열었습니다. 방문객들이 낙농업을 체험하고 농장에서 나온 우유로 직접 치즈와 피자를 만드는 프로그램을 운영 중입니다. 농산물을 심고 수확해보는 체험도 함께 해볼 수 있습니다. 지난해에만 500여명이 찾았다고 합니다.

농촌이 새롭게 발전하기 위해선 농산물 생산에만 머물게 아니라 농촌 자연환경을 이용한 관광·휴양·체험 프로그램을 적극 운영해야한다는 게 윤 대표의 생각입니다.

윤 대표는 한국 농업이 선진국처럼 발전하기 위해선 농촌에서 나고 자란 젊은층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농촌에 아무런 기반이 없는 젊은 사람이 새롭게 농촌에 들어와서 뭘 해본다는 게 사실 쉽지 않을 겁니다. 영농후계자들이야 부모님이 농사를 지어오던 땅도 있고 농기계도 갖춰져 있기 때문에 본인이 마음먹고 노력한다면 다양한 시도를 해볼 수 있어요. 우선은 농촌 출신 젊은이들이 농업의 가능성에 대해 깨닫고 농촌으로 돌아와 새로운 작물과 농법에 도전하는 게 농촌을 변화시키는 첫 단계라고 생각해요.”

안성=FARM 홍선표 기자

전문은 ☞ m.blog.naver.com/nong-up/2209816485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