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은행예금취급기관 7.4조 급증

우리나라 가계가 짊어진 빚이 올해 1분기 17조원 넘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은행보다 이자 부담이 큰 저축은행, 상호금융, 새마을금고 등 제2금융권의 급증세가 이어지고 있다.

한국은행은 23일 가계신용 잔액이 지난 3월 말 1천359조7천억원(잠정치)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한국은행이 가계신용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02년 4분기 이후 최대 규모다.

가계신용은 가계부채를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통계다.

가계가 은행, 보험, 대부업체, 공적금융기관 등 금융기관에서 받은 대출뿐 아니라 결제 전 카드 사용금액(판매신용)까지 합친 금액이다.

가계신용 잔액은 작년 말(1천342조5천억원)보다 17조1천억원(1.3%) 늘었다.

1분기 증가액은 작년 1분기(20조6천억원)에 비해 3조5천억원 가량 줄었고 작년 4분기(46조1천억원)와 견줘 크게 축소됐다.

그러나 급증세가 꺾였다고 보기 어렵다.

보통 1분기에는 이사 수요 감소, 연말 상여금 등의 영향으로 가계부채 증가액이 작은 편이다.

올해의 경우 1분기 기준으로 사상 두 번째를 기록할 정도로 증가 규모가 크다.

가계부채가 폭증하기 전인 2010∼2014년 가계부채의 1분기 평균 증가액은 약 4조5천억원이다.

가계부채 증가는 저금리 장기화와 부동산 규제 완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

금융당국이 그동안 주택담보대출에서 소득심사를 강화한 여신심사 가이드라인, 청약규제를 골자로 한 '11·3 부동산 대책' 등 여러 가계부채 대책을 내놓았지만, 실효성이 크지 않다는 비판이 나온다.

가계부채는 민간소비를 위축시키고 장기적으로 경제 성장에 걸림돌로 작용할 것이라는 우려가 크다.

가계신용에서 대출 잔액은 1천286조6천억원으로 석 달 사이 16조8천억원(1.3%) 늘었다.

은행의 대출 수요가 비은행권으로 이동하는 이른바 '풍선효과'가 이어졌다.

예금은행은 가계대출 잔액이 618조5천억원으로 1조1천억원 늘어나는데 그쳤다.

증가액이 작년 1분기(5조6천억원)와 비교해 5분의1 수준으로 급감했다.

반면, 저축은행을 비롯한 비은행예금취급기관 잔액은 298조6천억원으로 1분기에 7조4천억원 늘었다.

증가액이 작년 1분기(7조6천억원)와 비슷하다.

문소상 한은 금융통계팀장은 "예금은행 가계대출은 리스크(위험) 관리 강화와 금리상승 기조 등으로 증가 규모가 축소됐지만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은 은행권으로부터의 대출 수요 이전 등으로 증가액이 작년 동기와 유사한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비은행예금취급기관 가계대출 중 상호저축은행 잔액이 19조3천682억원으로 1분기에 1조833억원 늘었다.

저신용·저소득층이 비싼 이자를 감수하고 저축은행을 많이 찾은 것으로 풀이된다.

또 상호금융은 174조348억원으로 2조9천830억원 불었고 새마을금고는 2조5천288억원, 신용협동조합은 8천353억원 각각 증가했다.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의 주택담보대출 증가액은 4조2천억원으로 작년 1분기(2조1천억원)의 2배 수준으로 뛰었다.

판매신용 잔액은 73조원으로 3천억원(0.4%) 증가했다.

신용카드사 등 여신전문기관이 6천억원 늘어난 72조2천억원으로 집계됐다.

백화점, 자동차회사 등 판매회사 잔액은 8천억원으로 3천억원 줄었다.

(서울연합뉴스) 노재현 기자 noja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