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산업 비상 꿈꾸는 박석종 한국드론산업협회장"…센서 등 고가 부품으로 중국 따라잡아야"
“중국과의 드론 기술 격차는 적어도 7년 이상 벌어졌습니다. 몸체보다는 드론에 탑재되는 센서 등 고부가가치 산업에 집중해야 합니다.”

박석종 한국드론산업협회장(51·사진)은 경기 수원시 팔달구 한국드론산업협회에서 한국경제신문 기자와 만나 국내 드론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이같이 강조했다.

2010년까지 국회에서 비서관으로 활동한 박 회장은 본래 무선조종기로 움직이는 고정익 모형 비행기 마니아였다. 그런데 2013년 드론을 처음 조종해보고 드론에 푹 빠져들었다. 박 회장은 “모형 헬리콥터로 제자리 비행을 하려면 적어도 10년 경력이 필요한데 드론은 처음 조종기를 잡는 순간부터 가능했다”며 “누구나 쉽게 조종할 수 있는 드론의 접근성이 산업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될 것임을 직감했다”고 말했다. 그는 공직에 있던 경험을 바탕으로 국내 드론산업의 성장과 드론 문화 확산을 지원하기 위해 2014년 한국드론산업협회를 설립했다. 한국드론산업협회는 국토교통부 인가를 받은 사단법인으로 영세 업체들의 드론 제작을 돕고, 안전 교육으로 드론 문화 확산을 지원하고 있다.

박 회장은 “드론 시장을 키우기 위해 규제를 개혁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많지만 섣불리 규제를 풀었다간 중국 업체들만 도와주는 꼴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국내에서 유통되는 드론 중에는 사실상 국내에서 만들어진 제품이 단 한 개도 없는 실정이다. 국내 업체가 내놓았다고 해도 중국 공장에서 만든 수입품이거나 중국산 부품으로 조립한 제품이다. 이미 드론 분야는 기술과 가격경쟁력에서 중국에 뒤처졌다. 중국 업체들 사이에서도 가격 경쟁이 과열되면서 2015년 대비 지난해 드론 몸체 제작비용은 절반으로 떨어졌다. 박 회장은 “드론의 핵심인 모터를 국내에서 만들면 개당 4500원이 들지만 중국에서는 1500원이면 만들 수 있을 뿐 아니라 성능이 더 좋다”고 탄식했다. 이미 미국의 유명 드론 제조사 3D로보틱스와 프랑스의 패럿도 시장에서 밀려나면서 연구인력 수백명을 감원했다.

드론 몸체 대신 박 회장이 주목하는 분야는 드론에 들어가는 각종 센서와 카메라다. 박 회장은 “비행 기능만 갖춘 단순 놀이용 제품보다 카메라 등을 탑재한 고가 드론 시장이 점점 커지고 있다”며 “드론 몸체를 만드는 곳은 중국이지만 드론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핵심인 센서나 항공촬영을 도맡는 소형 카메라 등은 삼성전자를 비롯한 국내 업체들이 경쟁력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중국 DJI와 샤오미도 모두 삼성 제품을 사용하고 있다”며 “삼성전자에 부품을 공급하는 국내 중소기업에도 매력적인 기회”라고 덧붙였다. 드론 한 대가 100만원이라면 몸체 가격은 20만원에 불과하고 나머지가 탑재되는 장비에 붙는 가격이란 설명이다.

박 회장은 “한국이 정보기술(IT) 강국답게 각종 통신모듈, 센서, 카메라 등에서는 아직 우세하지만 앞으로도 그러리란 보장이 없다”며 “방심하면 다른 부품들도 ‘값만 비싸고 성능은 떨어지는 모터’ 꼴을 면치 못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드론산업에는 산업통상자원부뿐 아니라 국토교통부, 미래창조과학부 등 3개 부처가 얽혀 있어 시너지를 내기가 쉽지 않다”며 “차기 정부에는 드론산업을 총괄할 수 있는 컨트롤타워가 생기길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수원=이우상 기자 id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