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공회의소가 대기업이 회원사로 참여하는 대기업위원회를 신설하기로 했다. 자산총액 5조원 이상 기업집단에 대기업위 참여를 요청하고 있다. 대기업위가 ‘최순실 사태’ 이후 전국경제인연합회(한국기업연합회로 개명 예정)를 탈퇴한 대기업을 흡수할지에 재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29일 재계에 따르면 대한상의는 대기업위를 설치하기로 하고 대기업을 상대로 가입 의사를 묻고 있다. 최근 자산총액 5조원 이상 그룹에 대기업위 참여를 요청하는 공문을 보냈다. 상황에 따라서는 자산총액 10조원 이상으로 대상 그룹을 좁히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대상 기업은 자산총액 5조원 이상이면 65곳, 자산총액 10조원 이상이면 40곳 정도인 것으로 알려졌다. 대기업위는 개별 기업으로 구성되며 각 기업 대표가 위원으로 활동한다. 위원 임기는 3년이며 연임이 가능하다. 또 회원사 대표 중 위원장과 5명의 부위원장을 선임해 대기업위 회장단을 구성할 예정이다.

대기업위는 정부와 국회의 대기업 정책 대응,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 수행, 회사 간 교류 증진 등을 목적으로 한다. 예컨대 정치권의 상법·공정거래법 개정 움직임이나 고용, 투자, 규제개혁 등 정부 정책에 대기업의 대안이나 의견을 내는 역할을 한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대기업 관련 각종 법안이 쏟아지고 있어 실무적으로 대응할 조직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현재 대한상의의 주축은 대기업을 비롯해 중소·중견기업과 소상공인이다. 중견기업위원회 중소기업위원회 등이 이들을 대변한다. 하지만 대기업의 의견을 수렴하고 정책 대안을 제시하는 역할은 많지 않았다. 대한상의가 대기업위를 설치하려는 이유다. 최순실 사태 이후 삼성 현대자동차 SK LG 등 주요 그룹이 전경련에서 탈퇴한 점도 대한상의가 대기업위 신설에 나서는 배경으로 꼽힌다. 그동안 대기업의 이해관계를 대변하던 전경련의 힘이 약해진 상황에서 대한상의가 대기업 정책의 주도권을 쥐기 위해 움직이고 있다는 것이다.

대기업들은 신중한 분위기다. 전경련의 위상 약화로 대기업의 목소리를 내기 어려워진 상황에서 대기업위가 대안이 될 수 있지만 다른 한편으론 대기업위를 부정적으로 보는 시각도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주용석/장창민 기자 hoho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