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아름의 왜&때문에] 사이다에 관한 모든 것… '칠성사이다'는 사이다가 아니다?
여러분, 사이다 좋아하시나요? 저 역시도 사이다 참 좋아하는데요. 우리나라에서 콜라 다음으로 인기 있는 음료가 바로 사이다죠. 콜라가 약간 '미쿡 음료' 느낌인 반면 사이다는 뭔가 한국의 맛 같은 기분이 납니다.

여기서 잠깐. 사이다가 사실은 사이다가 아니라는 것 알고 계신가요. 사이다는 왜 사이다가 된 걸까요. 사이다에 대한 모든 것을 알려드립니다.

유럽에 나가면 식당 음료 메뉴판에 종종 'cider'가 있습니다. 스프라이트나 세븐업을 주겠구나 하고 cider를 주문하면 이게 웬걸. 시큼하고 노란 음료가 나옵니다. 심지어 술이에요.

그렇습니다. cider는 사실 술입니다. 유럽에서는 사과 발효주를 cider, 즉 사이다라고 부르죠. 프랑스에서는 시드르(cidre)라고 읽습니다.

사과향이 나는 술이지만 발효주인 만큼 끝맛은 막걸리 풍미도 납니다. 사이다를 증류하면 사과 브랜디인 칼바도스가 됩니다.

그런데 어쩌다 사과발효주가 원형을 알수 없는 음료로 변했을까요. 일본 얘기로 넘어가야 합니다.

일본에 처음 들어온 사이다(이 때만 해도 사과 맛이 나는 음료였죠)가 인기를 얻고, 이 과정에서 사과맛보다 '탄산'에 방점이 찍혀 톡 쏘는 맛이 나는 음료를 사이다라고 부르게 된 거죠.

아사히는 1884년 일본 최초의 사이다 브랜드인 미츠야 사이다를 출시, 지금의 '맑고 투명한 탄산 음료=사이다'라는 공식을 만들어 냅니다. 이를 다른 브랜드들도 따랐고요.

국내에는 어떻게 사이다가 들어오게 된 걸까요. 알다시피 칠성사이다는 일곱 명의 창립주주가 모두 성이 다르다는 데서 착안, 칠성이라는 브랜드명을 만들고 1950년 5월9일 '칠성사이다'를 세상에 내놓습니다.

칠성사이다 출시 전, 이미 시장에는 수많은 '사이다'들이 인기를 끌고 있었습니다. 인천에서는 스타사이다, 서울에서는 서울사이다, 평양에선 금강사이다가 있었고 부산 동방사이다, 대구 삼성사이다도 각각 지역에서 이름을 떨쳤습니다.
칠성사이다에 앞서 각 지역을 주름잡던 사이다들
칠성사이다에 앞서 각 지역을 주름잡던 사이다들
이 중 진짜 원조 사이다는 인천의 스타사이다입니다. 1905년 히라야마 마쓰타로가 세운 인천탄산수제조소의 '별표사이다'가 한국 최초의 사이다였고 광복 후 이 회사에서 스타사이다가 출시됐습니다.

[김아름의 왜&때문에] 사이다에 관한 모든 것… '칠성사이다'는 사이다가 아니다?
칠성사이다는 1950년에야 등장하죠. 그나마 출시되자마자 한국전쟁이 터지는 바람에 피난을 가야만 했습니다.

하지만 전쟁이 말 그대로 '전화위복'이 된 걸까요. 잿더미가 된 서울에서 발 빠르게 움직인 칠성사이다는 1960년대 들어 사이다 시장을 '접수'합니다.

그렇게 지금의 '사이다' 시장이 만들어졌고, 전 세계에서 한국과 일본에서만 'cider'가 맑은 색깔의 탄산음료를 뜻하게 됐죠.

그렇다면 우리나라에서 진짜 'cider'는 어디서 마셔볼 수 있을까요.

[김아름의 왜&때문에] 사이다에 관한 모든 것… '칠성사이다'는 사이다가 아니다?
비어케이가 수입하는 천연 사과발효주 '써머스비 애플 사이다'는 이마트와 홈플러스, 롯데마트등 대형 마트에서도 손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써머스비는 우리도 잘 알고 있는 덴마크의 맥주 브랜드 칼스버그가 만든 애플 사이다 브랜드입니다.

마지막으로 유럽에서 '한국식 사이다'를 마시고 싶을 때 팁 하나 드립니다.

cider를 주문하면 안 된다는 것쯤은 이제 모두들 아실 테고, 일반적으로 소다(soda)나 소프트 드링크(soft drink)를 주문하라고들 하는데요. 이러면 탄산이 들었다 뿐이지 뭐가 나올지 알 수가 없습니다.

그냥 '스프라이트'를 주문하세요. 최소한 우리가 아는 그 스프라이트가 나올 테니까요.

김아름 한경닷컴 기자 armijjang@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