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태섭 교수가 연구실에서 엑스레이 진공관을 들어보이고 있다. 허문찬 기자 sweat@hankyung.com
정태섭 교수가 연구실에서 엑스레이 진공관을 들어보이고 있다. 허문찬 기자 sweat@hankyung.com
“과학과 예술의 융합에 관심을 갖고 다양한 시도를 하다 보니 교과서에도 실리는 작품이 나왔죠. 실패와 엉뚱함에도 관대한 사회가 돼야 합니다.”

국내 엑스레이 아트 창시자로 지난해 12월 부산 기장의 국립부산과학관에서 전시회를 연 정태섭 강남세브란스병원 영상의학과 교수는 “다양한 분야의 융합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며 “사춘기 이전 아이들에게 꿈을 키워주는 교육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정 교수는 수식어가 많은 의사다. 그를 소개할 때면 엑스레이 아티스트, 새 지폐에 우리 과학자(장영실) 얼굴 모시기 운동 추진위원회 위원장, 과거 영상촬영기기 수집가 등이 따라다닌다.

2006년 대학병원 영상의학과 교수로 살며 건조한 일상에서 벗어나기 위해 환자만 찍던 엑스레이로 다른 것을 찍어보자고 결심했다. 기형도의 시 ‘입 속의 검은 잎’을 엑스레이로 표현하기 위해 나뭇잎을 문 사람의 엑스레이 사진을 찍었다. 정 교수는 “시가 엑스레이 사진으로 표현된다는 것이 신기해 인터넷에 올렸는데 반응이 좋았다”며 “이후 바로 전시회 일정을 잡았다”고 말했다.
지난해 인기드라마 ‘태양의 후예’에 나온 정태섭 교수의 작품인 언약(왼쪽)과 장미의 영혼.
지난해 인기드라마 ‘태양의 후예’에 나온 정태섭 교수의 작품인 언약(왼쪽)과 장미의 영혼.
‘입 속의 검은 잎’은 정 교수의 첫 작품이 됐다. 사람 외에 꽃, 소라껍데기 등을 엑스레이로 찍어 작품을 만들었다. 예술가 등의 조언을 얻어 엑스레이에 채색을 하고 여러 엑스레이를 이어 붙이는 등 변화를 줬다. 미술계에서도 인정받기 시작했다. 국립현대미술관에서도 작품을 구매했을 정도다. 2009년 국내 최대 규모 아트페어인 키아프에 작품을 출품했다. 8년 동안 한 번도 빼먹지 않고 참석했다.

초등학교 과학교과서, 중학교 미술교과서 등에 그의 작품이 실렸다. 인기드라마 ‘태양의 후예’에도 작품이 등장했다. 러시아 프랑스 등에서 전시회를 열었다. 정 교수는 “전문 분야를 활용해 취미생활을 시작하면서 자연스럽게 융합이 시작됐다”며 “미술교사를 한 부친의 영향을 받아 레오나르도 다빈치 같은 사람이 되겠다는 꿈을 키웠다”고 했다.

엑스레이 아트를 시작하기 전 정 교수는 아이들의 꿈을 키워주는 일에 관심이 많았다. 1998년부터 10년간 병원 인근 지역 아이들을 모아 놓고 별을 보는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1년에 한 번 정도 여는 행사에 많을 땐 1000여명의 어린이가 참석했다. 이를 계기로 한 방송사의 과학 프로그램 진행자로도 활동했다. 5만원권 지폐 도입이 논의되던 2004년에는 새 지폐에 장영실 초상을 넣어야 한다는 운동을 벌였다. 정 교수는 “과학자 초상이 그려진 해외 지폐를 모아보니 세계 지폐의 24%에 과학자 얼굴이 있었다”며 “지폐를 통해 과학자와 친숙해져야 한다는 생각에 위원회를 구성했다”고 설명했다.

사비를 들여 과거 엑스레이 진공관 등도 수집하고 있다. 그는 “미국에서는 1890년대 엑스레이 역사가 시작됐지만 한국은 1914년에야 엑스레이를 들여왔다”며 “역사는 기반인데 엑스레이로 보면 비어 있는 기반을 그대로 두고 그 위에 성을 쌓는 것 같았다”고 했다. “수집한 과거 엑스레이를 아이들이 보면 새로운 꿈을 키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