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순실 국정농단’ 사건 여파로 서울대도 시끄럽다. 서울대 최고의사결정기구인 이사회에 이해하기 힘든 ‘낙하산 인사’가 수두룩하다는 비판이 교수 사회에서 일고 있다. 이사회는 서울대 주요 정책의 최종 결정권뿐 아니라 총장 선출권을 가진다.

2년 전 총장 선출 과정도 다시 회자되고 있다. 2014년 총장 임명 과정에서 2순위였던 성낙인 현 총장이 낙점됐다. 서울대 교수들이 뽑은 1순위 후보였던 오세정 전 자연대 교수(국민의당 국회의원)는 별다른 이유 없이 탈락했다.

서울대 이사회는 학외이사 8명, 학내 이사 7명 등 총 15명으로 구성된다. 학외이사인 기획재정부·교육부 차관과 학내이사인 서울대 총장과 부총장 2명 등 5명은 당연직 이사이고, 10명(학외이사 6명, 학내이사 4명)은 비당연직 이사로 현직 이사 7명으로 구성된 이사후보초빙위원회가 선출한다.

현 이사회는 2011년 법인 서울대 출범 이후 세 번째로, 2014년 말 선임됐다. 교수들은 학외이사 중 전문성이나 비전 없이 비선 실세나 청와대의 입김으로 들어온 인사가 상당하다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박명진 전 서울대 명예교수는 지난해 6월부터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어 최근 최씨 사건과 관련해 문화예술계의 사퇴 요구를 받고 있다. 그는 이사 선출 당시 서울대 명예교수로 내부인사에 속해 학외이사 후보가 될 수 없었지만 교수직을 사퇴하면서까지 이사회에 들어가 외압 의혹이 일었다.

나은영 서강대 교수와 선우명호 한양대 교수 등 사립대 현직 교수들이 서울대 이사진으로 적절하냐는 지적도 많다. 나 교수는 ‘친박(친박근혜)’으로 분류되고, 선우 교수는 현 정부에서 스마트자동차추진단장을 맡았다. 서울대 교수들은 “다른 대학 현직 교수들이 이사가 돼 서울대의 주요 정책을 결정하는 것은 상식적으로 이해가 가지 않는다”며 “대학의 자율성을 확보해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만들어진 법인 서울대 이사회가 정권의 낙하산들로 채워져 있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황정환 기자 j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