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인재포럼 2016] "고령화를 기회로…노인 일하게 해야"
한국은 전 세계 국가 중 고령화 속도가 가장 빠른 나라 중 하나다. 2026년이면 국민 5명 중 1명이 65세 이상 되고, 2050년이면 세계에서 두 번째로 고령 인구 비율이 높은 나라가 된다. 65세 인구가 전체의 20%를 넘어 이미 초고령화 사회를 경험하고 있는 유럽 사회의 해법은 무엇일까.

3일 ‘저출산·고령화 사회의 인재정책’을 주제로 발표자로 나선 고령 사회 전문가 야스퍼스 파로 유럽직업훈련연구센터 선임연구원(사진)의 결론은 “고령화를 기회로 활용해야 한다”며 “숙련 노동자의 증가를 의미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파로 연구원은 “1970년대 유럽 사회는 노인 일자리를 청년에게 넘겨 준 뒤 이들을 연금 등 공적자금으로 지탱하는 정책을 써왔지만 청년 고용률이 떨어지면서 문제가 발생하기 시작했다”며 “‘일자리 수는 항상 고정돼 있다’는 정부의 착각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유럽의 복지제도는 1960~1970년대 고성장을 구가하던 자본주의 ‘황금기’ 때 기반이 마련됐다. 그는 “경제호황기에 만들어진 복지제도하에서 노인 일자리를 제한하면 이들에 대한 연금 비용만 천문학적으로 들 것”이라며 “베이비붐 세대는 의학기술 발달로 건강한 정신과 육체, 경제력을 갖춘 ‘활동적 노인(액티브 시니어)’으로 보고 이에 맞는 역할을 부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파로 연구원은 “청년과 고령 근로자의 격차를 줄이기 위해선 평생학습을 국가 차원에서 보장해야 한다”며 “잘된 노인 정책을 국가별로 모니터링해 정보를 공유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김우섭 기자 dut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