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차 노조 파업 성토 > 박성택 중소기업중앙회장이 28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현대차 파업 등 경제현안에 대한 중소기업계 기자간담회’를 열고 현대차 파업 자제를 호소했다. 앞줄 왼쪽부터 이영 한국여성벤처협회장, 이규대 중소기업기술혁신협회장, 박 회장, 한무경 한국여성경제인협회장, 이용성 한국벤처캐피탈협회장. 신경훈 기자 khshin@hankyung.com
< 현대차 노조 파업 성토 > 박성택 중소기업중앙회장이 28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현대차 파업 등 경제현안에 대한 중소기업계 기자간담회’를 열고 현대차 파업 자제를 호소했다. 앞줄 왼쪽부터 이영 한국여성벤처협회장, 이규대 중소기업기술혁신협회장, 박 회장, 한무경 한국여성경제인협회장, 이용성 한국벤처캐피탈협회장. 신경훈 기자 khshin@hankyung.com
중소기업계가 한목소리로 현대자동차 노동조합의 파업 중단을 촉구하고 나섰다. 직원 평균 연봉이 1억원에 육박하는 ‘금수저 노조’의 파업 탓에 중소기업 근로자가 느끼는 상대적 박탈감이 커지고,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를 벌리는 원인이 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파업이 이어지면 대국민 현대자동차 제품 불매 운동을 검토하겠다”고 강한 어조로 성토했다.

◆“중소기업은 생사기로에”

[역풍 맞은 '거대노조' 파업] "현대차 귀족노조 파업 멈춰라…불매운동도 불사할 것"
박성택 중소기업중앙회장, 한무경 여성경제인협회장, 이규대 중소기업기술혁신협회장 등 중소기업 단체장 8명은 28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 빌딩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현대자동차를 비롯한 대기업 귀족노조 파업이 양극화를 심화시키고 사회 갈등을 초래하고 있다”며 “파업을 즉시 중단하라”고 호소했다.

중소기업 단체가 특정 기업의 파업 중단을 요구하는 것은 이례적이다. 그만큼 현대자동차 노조 파업이 중소기업에 엄청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방증이다. 한진해운 사태에서 비롯된 물류 대란, 김영란법 시행으로 인한 소비 위축, 여기에 현대자동차 등 대기업 노조 파업까지 겹쳐 “중소기업을 운영하는 기업인들이 위기 상황에 직면했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특히 현대자동차 노조 등 강성노조 파업이 철도와 지하철, 보건의료 등 다른 분야 파업을 연쇄적으로 촉발해 사회 기저를 이루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에게 큰 피해를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적지 않다.

박 회장은 “현대자동차 직원들의 평균 연봉이 1억원에 가까워 중소기업 직원들의 두 배 수준에 이른다”며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를 발생시키는 주범이 바로 현대자동차 노조”라고 주장했다. 그는 “임금 격차 탓에 중소기업에 사람이 잘 오지 않고 대기업에만 몰려 일자리 불균형 현상을 초래하고 있다”며 “결국 청년 일자리 문제, 소득 격차 문제의 주된 원인은 대기업 노조의 이기적인 파업에서 찾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중소기업 근로자들이 느끼는 상대적 박탈감이 얼마나 큰지 조사한 설문 결과도 밝혔다. 중소기업중앙회가 지난달 10~15일 중소기업 근로자 5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에서 응답자의 89.2%가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가 불평등하다’고 답했다. ‘적절하다’는 응답은 1.6%에 불과했다.

◆중소 협력사 피해 ‘눈덩이’

중소기업 단체장들은 자동차 부품 등 중소 협력사들의 직접적 피해도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고 밝혔다. 자동차산업협동조합 자료를 근거로 “현대자동차 파업으로 부품 협력사들의 하루 손실액이 9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했다. 또 노사 간 갈등은 자동차 생산 공장을 해외로 옮기는 빌미로 작용해 국내 부품사들에 큰 타격이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용성 한국벤처캐피탈협회 회장은 “파업 리스크로 인해 벤처캐피털(VC)이 국내 자동차산업에 투자하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다”며 “자동차 부품 1, 2차 협력사의 생존권이 보장되지 않는 것은 문제”라고 지적했다.

장성숙 중소기업중앙회 부회장(염료안료공업협동조합 이사장)은 “비단 협력사뿐만 아니라 국내에서 제조업을 하는 상당수 기업이 직간접적으로 현대자동차 그늘에 있다”며 “제조업을 하는 사람으로서 이번 파업을 보며 밤잠을 못 이루고 오금이 저린다”고 토로했다.

중소기업 단체장들은 조속한 국회 정상화도 촉구했다. “총체적 위기 상황에서 국회가 대립과 갈등으로 파행을 거듭하고 있어 경제 회복은 더 요원해지고 있다”며 “여야는 출구 없는 대치 국면을 중단하고, 경제 활성화와 노동개혁 추진을 위한 입법을 지원하라”고 요구했다. 정부에 대해서는 “대기업 구조조정을 흔들림 없이 신속하게 추진하고, 노동계 투쟁에 단호하게 대처해 노동개혁을 이뤄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재광 기자 ahnj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