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뉴스] 미국 경기회복 엔진 벌써 식었나… "내년 침체기 진입" 목소리 커져
7년간 이어진 미국 경제의 확장세가 끝나고 내년부터 경기침체(리세션) 국면에 접어들 것이라는 경고가 나오고 있다. 기준금리를 올리지 못한 채 경기사이클이 끝나면서 위기가 깊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미국의 경기부진은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와 맞물려 세계경제의 불안감을 증폭시킬 가능성이 크다.

성장, 고용지표 부진…경기하강 예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코노미스트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21%가 내년 미국 경제가 침체 국면에 들어갈 개연성이 있다고 답했다고 지난달 20일 전했다. 이는 지난해 조사 당시 10%에 비해 두 배로 증가한 수치다.

WSJ는 고용 증가세가 둔화하고 자동차 등 내수가 부진한 데다 기업이익까지 감소하는 등 최근 발표된 지표가 전형적인 경기하강 국면 진입을 나타내고 있다고 지적했다. 미국경제연구소(NBER)가 경기 저점으로 공식 확인한 2009년 6월 이후 7년간 지속된 확장세가 종료되면서 향후 18개월 이내 경기후퇴가 시작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CNN머니도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경기 팽창 주기는 평균 5년 이하였다며 미 경제가 지난 7년간 성장세를 보인 만큼 리세션이 나타날 시기가 이미 지났다고 전했다. 전문가들도 2014년과 2015년 각각 2.4%를 기록한 경제성장률이 1분기 0.8%로 급격히 꺾인 데다 올 들어 월평균 신규 일자리 증가 숫자가 14만9000개로 고용시장 성장의 기준이 되는 20만개를 크게 밑돌고 있다고 지적했다. 컨설팅회사 MFR의 조시 사피로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지난해부터 계속된 기업 이익 감소를 감안할 때 내년 하반기 경기침체가 시작될 것으로 예상하지만 더 빨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차기 대통령은 경기침체에 직면

전문가들은 미국 중앙은행(Fed)이 기준금리를 올리지 못한 상태에서 경기침체를 맞이하면 마땅한 대응수단이 없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지난달까지 조기 금리 인상을 주장한 ‘매파’ 성향의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연방은행 총재는 “2018년까지 금리 인상은 한 번에 그쳐야 한다”며 ‘비둘기파’로 변신했다. 불러드 총재는 “내년 말까지 미 경기가 반등할 것으로 기대하기 힘들다”며 최대한 금리 인상을 늦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국 경제가 침체까지는 아니더라도 심각한 저성장 위협에 직면해 있다는 것이다. 차기 대통령이 임기 시작과 동시에 경제위기에 처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경기 문제는 오는 11월 대선을 앞두고 정치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CNN은 경제전문가들이 2017년 이후 미 경제가 불안정한 모습을 보일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며 차기 대통령의 정책 아젠다에 영향을 줄 것으로 내다봤다.

존 잉글러 비즈니스라운드테이블 회장도 “다음 대통령은 경제위기를 타개하기 위한 적절한 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민주당의 힐러리 클린턴 대선후보는 정부지출 확대를 통한 경기부양을, 도널드 트럼프 공화당 후보는 감세를 통한 기업투자와 개인소비 확대를 강조하고 있다.

“경기둔화 우려 과장” 반론도

비즈니스인사이더는 도이치뱅크의 최근 보고서를 인용, “기업이익 감소가 고용 증가세 둔화와 내수 부진으로 이어지면서 경기위축 현상이 나타나고 있지만 이를 경기침체 징조로 보는 것은 무리”라고 지적했다. 경기둔화 우려가 지나치게 과장됐다는 반론이다. 기업이익률이 떨어지지만 여전히 과거 평균을 훨씬 웃돌고 있다며 경기침체 공포가 과장됐다고 반박했다. 또 1분기 성장률이 당초 기대에는 한참 못 미쳤지만 2분기 반등과 함께 일자리 증가세도 회복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반면 그레고리 맨큐 하버드대 경제학과 교수는 “미국 경제가 저성장이라는 문제를 안고 있는 것은 명백하다”고 지적했다. 경기침체까지는 아니더라도 장기부진에 시달리며 정확한 원인조차 찾지 못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과거 1982년 경기침체기에는 실업률이 10.2%에 달했지만 이후 10년간 연평균 일자리 증가율이 2.1%에 달하는 견조한 회복세를 보이며 위기에서 벗어났다. 맨큐 교수는 “최근 10년간 1인당 실질 국내총생산 증가율은 연평균 0.44%로 역사적 평균인 2.0%에 크게 못 미치고 있다”며 “이 같은 성장률로는 소득이 두 배가 되는데 160년이나 걸린다”고 분석했다.

뉴욕=이심기 특파원 s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