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으로 56조원 날린 일본 공적연금…5년 만에 적자
세계 최대 연금인 일본 공적연금(GPIF)이 2015회계연도(2015년 4월~2016년 3월)에 5조엔(약 56조원) 이상의 운용손실을 냈다고 아사히신문이 1일 보도했다. 운용수익이 적자로 돌아선 것은 2010년 회계연도 이후 5년 만이다. 하지만 GPIF가 이 같은 내용을 일본 참의원 선거가 끝나는 이달 29일에나 공표하기로 해 손실 은폐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 신문은 GPIF 관계자의 말을 인용, GPIF의 지난해 운용손실이 5조수천억엔에 달했다고 전했다. GPIF는 지난달 30일 비공개 운영위원회를 연 뒤 이 같은 운용실적을 후생노동성에 보고했다. GPIF는 국민연금과 후생연금 적립금 등 약 140조엔을 운영하고 있다.

GPIF가 지난해 대규모 손실을 낸 것은 위험자산인 주식과 해외 투자 비중을 큰 폭으로 늘린 상황에서 지난해 8월 중국 경착륙 우려로 글로벌 증시가 큰 폭으로 내렸기 때문이다. 올 1~3월에는 일본 닛케이225지수도 11.9% 하락했다.

2014년 10월 GPIF는 일본 채권 투자비중을 종전 전체 자산의 60%에서 35%로 낮추는 대신 일본 주식 비중을 25%로 두 배가량 확대했다. 또 해외 주식 비중을 25%, 해외 채권 비중을 15%까지 늘렸다. 시장 상황에 따라 기준치 대비 최대 ±5%까지 투자할 수 있지만 전체적으로 증시 영향력이 커졌다.

GPIF는 결산일인 지난 3월 말 2015회계연도 운용실적을 7월28일 공표하기로 했다. 통상 7월 초순께 발표했지만 보유종목까지 추가로 공개할 예정이어서 이를 검토하는 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라고 공표가 늦어지는 이유를 아사히신문을 통해 설명했다.

하지만 야당인 민진당의 오카다 가쓰야 대표는 “선거에 불리한 점을 숨기려는 것”이라며 “아베 신조 정부에서는 이런 일이 많다”고 비판했다. 오는 10일 일본에서는 참의원 선거가 열린다. GPIF가 대규모 운용손실을 보면서 자산배분 기준을 둘러싼 논란이 재연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도쿄=서정환 특파원 ceose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