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업 신규 해외투자 '올스톱'] 한국 '타당성조사'에 꽁꽁 묶인 사이…미·중·일, 해외 자원개발 러시
국내 에너지 공기업은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에 막혀 해외 투자를 못하고 있는 반면 중국 일본 등은 저유가 시대를 맞아 자국 기업의 해외 투자를 독려하고 있다.

자원가격 하락으로 에너지 기업 가치가 저점을 찍었을 때 오히려 투자를 늘려야 한다는 판단이다.

27일 에너지경제연구원과 산업연구원(KIET) 등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자국 기업의 석유·가스 개발사업을 지원하기 위해 향후 5년간 출자·채무보증액을 3조엔 규모로 늘리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연간 출자·채무보증액이 지금의 두 배를 넘는 6000억엔 정도가 되는 것이다.

일본 경제산업성은 멕시코만, 호주, 모잠비크 등 가스전·광권 취득가격이 낮아진 곳에 기업들이 활발히 투자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중국은 해외 자원개발에 가장 적극적인 국가 중 하나다. 중국석유천연가스그룹(CNPC)은 러시아 국영 석유기업 로스네프티의 지분 인수를 추진 중이다. CNPC는 태국석유공사(PTT)의 해외 자산 인수 계획도 발표했다.

중국과 함께 ‘큰손’으로 분류되는 인도도 해외 자원 투자를 늘리는 추세다. 인도석유천연가스공사(ONGC)는 향후 3년간 해외 자산에 100억~200억달러를 투자할 예정이다.

미국과 유럽의 석유 메이저 기업도 지금이 인수합병(M&A)의 적기라고 판단하고 있다.

유럽 최대 석유회사 로열더치셸은 지난해 영국 가스회사 BG그룹을 530억달러에 인수했다. 영국계 BP, 프랑스계 토탈 등은 신재생에너지 사업 분야에도 거침없이 뛰어들고 있다. 글로벌 컨설팅회사인 IHS는 작년까지 줄어들던 에너지 업계 M&A 건수가 올해부터 다시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김성진 KIET 연구위원은 “한국 자원개발 정책은 정권이 바뀔 때마다 왔다갔다한다”며 “해외 자원개발은 최소 10년에서 20년을 내다봐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명박 정부 때는 자원가격이 뛰니까 ‘더 오르기 전에 사자’고 했다가 지금은 자원가격이 하락하니 ‘손실을 메우라’며 해외 사업을 처분하라고 한다”며 “이런 식이면 언제나 손해를 볼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태훈 기자 bej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