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정대 스마트창작터 교육개강식. / 서정대 제공
서정대 스마트창작터 교육개강식. / 서정대 제공
“스마트창작터 사업은 의미가 있어요. 창업 걸림돌인 초기비용을 학교가 상당 부분 부담하고, 함께 있는 창업팀끼리 시너지도 낼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됐죠. 인프라가 부족한 지역의 창업 거점 역할도 맡고 있습니다.”

경기도 양주에 위치한 서정대는 경기 북부 지역의 유일한 스마트창작터 주관기관이다. 스마트창작터는 애플리케이션(앱), 콘텐츠, 소프트웨어 등 유망 지식서비스 분야 예비창업자나 창업 1년 미만 초기기업의 역량 강화와 실전창업을 지원하는 사업. 서정대는 중소기업청 창업진흥원의 지원을 받아 작년 1기 창업팀 12곳을 배출한 데 이어 올해 2기를 받았다.

서정대 스마트창작터는 올해 27개 신청팀 중 서류·발표평가를 거쳐 12개 창업팀을 선정했다. 창업팀마다 1800만원의 사업비를 지원했다. 선발된 창업팀에겐 실전창업, 창업실무교육 30시간을 기본으로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의 특화교육 70시간이 무료 제공됐다. 창업팀은 1:1 멘토링도 10회 이상씩 받을 수 있다.

부담 없이 공간 확보, 인프라 활용이 가능한 이점이 크다. 창업팀들은 창업사무실에 무상 입주해 별도 사용료 없이 앱 개발 실습실을 이용했다. 사업비와 별도로 창업팀 개발품에 대한 지식재산권 취득비(팀당 150만원 한도)도 주어졌다. 사업자 등록, 4대 보험 신청, 세무 신고절차 등 창업자들에게 필요하지만 실무지식이 부족한 기초교육도 병행했다.

서정대 스마트창작터는 창업팀 개발품의 언론 및 동영상,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홍보 지원까지 맡아 확실하게 지원사격 했다. 신동석 서정대 창업지원센터 총괄매니저는 “말 그대로 창업팀과 동고동락했다. 사업 기간이 다소 짧지만 스마트창작터를 거친 창업팀들이 가시적 성과를 얻을 수 있도록 교육과 지원, 홍보까지 전 과정에 걸쳐 지원에 힘썼다”고 말했다.

조훈 서정대 산학협력단장. / 서정대 제공
조훈 서정대 산학협력단장. / 서정대 제공
올해 사업 종료기간이 당초 12월 말에서 10월 말로 당겨진 것은 아쉬움이 남는다. 다만 서정대는 창업팀들을 끝까지 책임지고 지원한다는 입장이다. 멘토링은 협약기간 종료 후에도 받을 수 있도록 했다. 학교 측은 “창업팀이 사업 운영과 개발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고 귀띔했다.

조훈 서정대 산학협력단장(사진)은 “창업 인큐베이팅을 하는 스마트창작터의 공식 프로그램 외에도 실제로 스타트업을 하는 사람들끼리의 유대관계에서 빚어지는 시너지 효과가 상당하다”면서 “학교가 나서 이런 부분이 활성화되도록 도와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스타트업은 실패하는 게 당연하다’는 인식의 전환도 주문했다. 조 단장은 “실리콘밸리의 성공한 스타트업 사례를 보면 최소 10번은 실패해야 제대로 된 사업을 일굴 수 있었다”면서 “그러기 위해선 학교가 주축이 된 창업지원 사업이 정착돼야 한다. 초기 비용을 감당 못해 무너지는 스타트업이 많은데 학교가 버퍼(완충장치) 역할을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 진짜 창조경제 하려면 '선택과 집중' 해야

스마트창작터 사업은 올해 종료된다. 사업 종료기간도 앞당겨졌다. 그 여파로 창업팀들에 대한 교육과 지원이 급하게 마무리됐다. 10번 시도에 한번 성공하기 어렵다는 스타트업에 대한 지원프로그램 치고는 아쉬운 감이 없지 않다.

신동석 창업지원센터 총괄매니저는 “올해 배출한 2기 창업팀은 실질적으로 7~10월 4개월 과정에 모든 것을 마쳐야 했다”며 “창업팀들이 이렇게 짧은 기간에 예년과 비슷한 수준의 결과물을 내놓긴 어렵다. 실제로 이번 12개 창업팀 중 한 곳은 사업에 대한 의지가 있는데도 불가피하게 포기하는 상황이 됐다”고 덧붙였다.
서정대 스마트창작터 교육수료식. / 서정대 제공
서정대 스마트창작터 교육수료식. / 서정대 제공
보여주기식 탁상행정으로는 창업지원 사업 성과를 낼 수 없다는 현장의 지적이다. “창업팀 상황을 비유하자면 아기가 막 기기 시작하는데 지원을 끊는 격”이라고도 했다.

신 매니저는 “창업팀 지원자금도 마찬가지다. 작년 3000만~5000만원 수준이었던 금액이 올해 팀당 2000여만원으로 확 줄었다”면서 “차라리 창업팀 선발 숫자를 줄이더라도 지원금 수준을 유지해 ‘선택과 집중’을 꾀하는 게 맞지 않느냐. 정말 창조경제와 창업지원에 대한 의지가 있다면 정부가 치밀하게 고민해 신중히 정책을 집행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조훈 산학협력단장도 “창업지원은 특히 연속성이 중요하다. 1년 지원하고 사업 검토해 지원 중단되는 식이면 맥이 끊긴다”며 “사업 기간을 3+2년이나 4+1년 식으로 설정해야 한다. 중간평가를 통해 특별한 결격 사유가 없으면 지원이 계속되는 방식이 돼야 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양주= 김봉구 한경닷컴 기자 kbk9@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