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 근전도 센서 밴드를 팔뚝에 찬 연구원이 손동작을 이용해 모니터에 글씨를 쓰고 있다. KIST 제공
피부 근전도 센서 밴드를 팔뚝에 찬 연구원이 손동작을 이용해 모니터에 글씨를 쓰고 있다. KIST 제공
영화 ‘아바타’처럼 사람의 동작에 따라 가상현실 속 분신을 조종하는 기술이 곧 상용화될 전망이다.

미래창조과학부 글로벌프런티어사업 실감교류인체감응솔루션연구단은 근육의 신호를 이용해 사용자의 동작을 실시간으로 예측하는 ‘피부 근전도 센서(sEMG)’를 개발했다고 16일 발표했다. 연구는 김기훈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선임연구원 팀이 주도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밴드 형태의 센서를 팔뚝에 착용하면 손과 손가락의 운동 패턴을 인식해 원격지의 로봇을 실시간 조종할 수 있다. 사람이 어떤 동작을 하려면 그에 앞서 근육을 수축시켜야 한다. 이때 나오는 전기신호인 근전도 신호를 포착해 동작을 예측하는 방식이다. 근전도 신호는 실제 동작보다 1000분의 30초 정도 먼저 발생한다.

같은 연구단에 속한 박지형 KIST 책임연구원 팀은 가상현실을 체감할 수 있는 ‘안경식 디스플레이(HMD)’를 개발했다. ‘오큘러스 리프트’ ‘소니 모피어스’ 등 다른 가상현실 기기들은 머리에 벨트를 착용해야 할 만큼 크고 무거운 데 비해 이 제품은 안경 정도의 크기와 무게로 줄이면서도 몰입감을 높인 게 특징이다.

김태훈 기자 taeh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