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띵을 아십니까?
▲ 백종원은 '마이리틀 텔레비전'에서 백주부라는 별명을 얻으며 인기를 얻고 있다. 사진=마이리틀텔레비젼 캡쳐 (김희주 기자)

양띵을 아십니까?



1990년 생으로 올해 만 24세인 그는 본명인 양지영보다 '양띵(YD)'이라는 닉네임으로 더 유명하다. 자신의 성인 '양'과 띨띨하다는 별명 때문에 '양띨띨'이란 닉네임을 사용했지만 부르기 어려워 '양띵'으로 바꿨다고 한다. 2012년 아프리카TV 방송대상에서 게임 BJ(인터넷방송 진행자)로 대상을 수상한 그는 대표적인 유튜브 크리에이터로 통한다.



게임이나 방송, 영화 해설가로 유명한 '대도서관' '쿠쿠르쿠' '씬님' '데이브' '영국남자' 들도 '양띵'처럼 유명한 파워 크리에이터(1인 창작자)다.



아프리카TV나 유튜브 등에서 인기있는 BJ는 자신의 방송에 붙는 광고료 등 월수입이 수천만원을 넘는 경우도 적지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무엇이 '양띵'같은 이런 1인 창작자들의 성공을 가능하게 한 것일까? 삼성증권에 따르면 한국의 1인가구 비중은 1990년 9%에 불과 했지만, 2000년 15.6%까지 증가했고 2015년 현재 27.1%를 넘어선 것으로 추정된다.



1인 가구가 늘어나면서 콘텐츠 생산과 소비 방식에 변화가 일어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됐다. '1인 콘텐츠 시대'가 성큼 찾아온 것이다.



20세기까지는 신문이나 우편, 잡지 같은 인쇄매체부터 라디오, TV, 영화까지 불특정 다수에게 대량의 정보를 전달하는 매스미디어가 주를 이루었다. 하지만 21세기에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스마트폰을 이용해 콘텐츠를 소비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아프리카TV 등 콘텐츠 생산이 수월해지면서 1인 콘텐츠의 영향력은 기존 콘텐츠 소비 구조 전체를 뒤흔들 만큼 강력해졌다는 것이 미디어 전문가들의 견해다.



1인 콘텐츠가 급성장하게 된 배경에는 아프리카TV, 유투브, 팟캐스트 등 인터넷 방송채널이 있다. 최근 인기를 끌고 있는 '마이리틀 텔레비전' 같은 경우도 아프리카TV의 1인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요식업계의 큰손인 백종원을 일명, 백주부라는 별명으로 스타덤에 올려 놓았다.



이런 흐름에 따라, 1인 콘텐츠와 함께 이들을 관리해주는 MCN 사업도 등장했다. MCN이란 멀티채널네트워크(Multi Channel Networks)라는 비즈니스 모델로, 1인 콘텐츠 창작자와 제휴해 촬영 스튜디오와 방송장비, 교육, 마케팅 등을 지원해주고, 채널에서 얻는 광고 수익을 나누는 구조를 말한다.



CJ E&M은 지난달 7일 1인 콘텐츠 창작자를 위한 서비스 플랫폼 '다이아(DIA) TV'를 선보였다. 아프리카TV의 대표적인 BJ(Broadcasting Jockey)인 '대도서관' 나동현 씨와 제휴를 맺어 화제가 되기도 했다. CJ E&M은 게임과 뷰티, 엔터테인먼트에 이르는 국내외 200여개 팀 크리에이터를 발굴해 양성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1인 미디어의 그늘에 가려진 부작용을 주목하고 비판하는 그룹도 나타나고 있다. 이들은 자유로운 콘텐츠 생산과 노출에는 그만한 책임이 따라야 한다고 지적한다. 아프리카TV 등에서는 많은 BJ들이 더 많은 수익을 내고자 과도한 노출이나 자극적인 설정을 하고 있어 적절한 규제가 필요하다는 입장도 있다. 이런 선정적이고 폭력적인 내용들이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어 10대 청소년들에게 부작용을 일으키는 사례가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미디어 전문가들은 발전 가능성이 무한한 '1인 콘텐츠'가 더 성장하기 위해서는 MCN 사업을 추진하는 관련 기업들이 자정을 위한 규율을 스스로 만들어가야 한다고 지적한다. 파워 크리에이터 시장이 성장하기 위해 지금까지 앞만보고 달려온 시간을 되돌아 봐야 할 때가 찾아온 것이다.





김희주 한경닷컴 정책뉴스팀 기자 gmlwn447@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