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 칼럼] 커닝
조선 후기 야담집 《청구야담》에는 ‘시골 유생을 속여 박생이 과거에 합격하다(騙鄕儒朴生登科)’라는 이야기가 있다. 박생이 과거시험 전 거벽(巨擘·대리시험자)과 사수(寫手·대필자)를 찾아내 협박해 급제한다는 내용이다. 박생은 암행어사로 유명했던 박문수를 지칭한다. 지어낸 이야기겠지만 과거제도의 실상을 엿볼 수는 있다.

숙종실록에는 성균관에서 과장(科場)까지 대나무통이 묻혀 있는 게 적발됐다는 기록도 있다. 시험문제를 끈에 매달아 내보내면 밖에서 답안을 써 돌려보내는 대리시험 수법이었다. 조선시대판 문자메시지 커닝이다. 이런저런 부정행위로 급제한 자들은 ‘뻐꾸기 현감’ ‘뻐꾸기 당상’이란 놀림을 받았다고 한다.

시험 있는 곳에 빠지지 않는 게 커닝(cunning)이다. 커닝은 일본식 영어(간닝구)에서 유래했는데 본래 ‘교활한’이란 뜻이다. 영어로 시험 부정행위는 ‘cheating’인데, 이는 커닝뿐 아니라 도박 게임 등의 속임수까지 포괄하는 의미다.

시험결과에 따른 반대급부가 크면 클수록 커닝은 성행하게 마련이다. 과거급제는 곧 인생역전이었으니 커닝수법은 상상을 초월한다. 송나라 때 만들어진 인쇄본 좁쌀책은 알고보니 커닝용이었다. 청나라 때는 가로 4.5㎝, 세로 3.8㎝, 두께 0.5㎝에 불과한 커닝페이퍼 9권에 10만자를 담은 사례도 있다. 심지어 점심 도시락이나 콧속에까지 커닝페이퍼를 끼워넣기도 했다고 한다.

오늘날에도 커닝은 더 기승이다. 최근 중국 일부 학교에선 커닝 통제가 안 되자 학생들을 운동장에 4m 간격으로 앉혀 시험을 치르게 하고, 교사는 망원경으로 감시한 일도 있었다. 또한 IT기기를 이용한 커닝 예방을 위해 시험장에 전파방해장치, 금속탐지기까지 설치할 정도다. 며칠 전 인도에선 고교 입학시험 도중 학교 벽을 타고 올라가 커닝쪽지를 건네려던 학부모와 부정행위를 거든 교사 1000여명이 체포됐다는 소식도 전해졌다. 출세욕과 엇나간 교육열의 합작품이다.

서양이라고 크게 다르진 않은 모양이다. 미국 고교생 4500명 설문에서 74%가 시험 커닝 경험이 있고, 이 중 3분의 1은 반복적으로 커닝을 했다고 조사됐다. 3년 전 하버드대에서 125명이 기말고사 집단 부정행위로 적발되더니 이번엔 스탠퍼드대에서 대규모 시험 부정이 드러나 조사 중이라고 한다. 세계 최고 명문대생들도 시험 앞에서는 어쩔 수 없다. 하긴 국내 대학에서의 커닝은 웬만해선 기사거리도 안 된다.

오형규 논설위원 oh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