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경제, 협동 경제, P2P(peer to peer·개인 간) 경제.’

온디맨드 경제를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을 담은 신조어다. 일각에서는 고용이 불안정한 저임금 근로자를 양산한다는 의미에서 ‘임시직(gig) 경제’라는 냉소적 반응도 나온다. 미국 빌 클린턴 행정부에서 노동부 장관을 지낸 로버트 라이시 캘리포니아대 버클리캠퍼스 교수는 “공유라는 이름으로 부스러기를 나눠 갖는 것에 불과하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뉴욕타임스(NYT)는 “온디맨드 경제 아래에서 근로자들은 원하는 시간에 일할 수 있는 자유를 얻지만 급여 감소와 고용 불안정이라는 대가도 함께 치르고 있다”고 지적했다.

차량공유 서비스인 우버의 운전사는 일하는 시간 동안에만 소득이 발생하는 데다 자동차 관리와 보험도 스스로 책임져야 한다. 리스크는 개인이 떠안고, 회사는 고율의 수수료만 챙기면서 무한경쟁에 시달리는 저임 근로자만 양산한다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이 때문에 독일과 프랑스 등 일부 유럽 국가에서는 우버 영업을 불법으로 금지하고 있다. P2P 금융회사인 렌딩클럽의 경우에도 금융중개 기능의 안정성과 투자자 보호 논란이 제기되면서 미시시피와 메인 등 미국의 7개 주에서는 영업 허가를 받지 못했다.

전문가들 사이에선 소비자 편익 증대라는 온디맨드 경제의 장점을 살리기 위해선 정부의 고용정책이 변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1인 사업자에 대해 고용 및 의료보험과 연금을 제공하고 전문 기술과 네트워킹 기술 등의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정부가 온디맨드 기업의 부작용을 이유로 영업을 무조건 금지할 것이 아니라 경제 구조의 변화에 고용과 임금을 측정하는 방식을 바꾸고, 사회안전망 혜택을 확대하는 등의 제도 개선에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뉴욕=이심기 특파원 s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