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의 중·고등학교가 개학했지만 신입생 4명 중 1명은 교복을 맞추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 신입생은 당분간 교복을 입지 못하는 등 혼란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4일 교복업계가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교복학교주관구매제’에 참여하기로 한 전국 2688개 중·고교 중 교복업체와 계약한 학교는 전체의 75%인 2016곳인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672곳은 아직 업체를 선정하지 못했거나 입찰이 진행 중이다.

교육부는 지난해 학부모의 교육비 경감과 교복 값의 안정화를 위해 올해부터 모든 중·고교가 경쟁입찰로 교복업체를 선정하도록 하는 공문을 각급 학교에 보냈다. 현재 전국 중·고교 5564곳 중 53%인 2688곳이 참여하기로 했고 나머지 학교는 올해까지 학생들이 개별 구매해 교복을 입도록 한 상황이다.

개학을 했지만 주관구매제를 통해 교복이 순조롭게 공급되지 못하는 이유는 업체 간 밥그릇 싸움 때문이다. 대형 교복업체 대표 격인 한국교복협회는 최근 교복에 착용연도를 부착하지 않은 전국 15개 중소 교복업체를 공정거래위원회에 고발했다. 교육부도 일부 대형 교복업체가 불공정거래를 했다며 공정거래위원회에 관련 업체를 제소했다. 조사 결과가 나오면 해당 업체를 제재하겠다는 입장이다.

시간이 지연되면서 결국 학부모와 학생들이 불편해졌다. 학생 4명 중 1명은 교복이 없는 상황이다. 중학교 입학생을 둔 한 학부모는 “어차피 입을 교복이라면 차라리 개별 구매해 입는 게 나을 것 같다”며 “모든 게 불안한 신입생만 불편해지는 것 아니냐”며 불만을 토로했다. 교육부는 각 학교와 교복업체 간 계약이 끝난 뒤 40일까지 교복을 입지 않아도 좋다는 지침을 각 학교에 전달했다.

임기훈 기자 shagger@hankyung.com